‘한국에서 가장 좋은 책’은 어떤 책일까?
대한출판문화협회와 서울국제도서전이 선정한 ‘2024년 한국에서 가장 좋은 책’은 40종이다.
책을 만들고 향유하는 문화를 독려하고 책과 그것을 만드는 사람을 기리고 응원하기 위해 제정된 ‘한국에서 가장 좋은 책’은 공개 모집을 통해 뽑혔다. 지난해 12월18일부터 올해 2월14일까지 진행된 행사에는 총 696종이 경쟁했다.
출협은 2020년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공모를 시작했다. 2023년 ‘한국에서 가장 즐거운 책’, ‘한국에서 가장 재미있는 책’에 이어, 올해는 ‘한국에서 가장 지혜로운 책’을 신설했다. 총 4개 부문에서 공모를 진행, 각 부문별로 5명의 전문가가 총 2회의 심사를 거쳐 수상작을 선정했다.
‘한국에서 가장 좋은 책’은 ▲아름다운 책 ▲즐거운 책 ▲지혜로운 책 ▲재미있는 책 등으로 나눠 각각 10권씩 총 40권을 지정했다.
이 가운데 올해 ‘한국에서 가장 즐거운 책’으로’ 뽑힌 10권을 소개한다.
가방을 열면
이 책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꿈에서 시작한다. 책에는 매일 들고 다니는 가방 안에는 각기 다른 물건들이 들어 있으면서도 누군가의 꿈이 담겼다고 전한다. 저자인 이영림 작가는 가방을 여는 행위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책 속에서도 꿈을 열도록 기획했다.
달빛춤
책은 평화와 평등, 연대와 상생의 세계를 그렸다. 주인공 차돌이는 동무가 생기길 바란다. 작가는 작고 약한 존재들이 모두 어울리고 함께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책에 투영했다. 작가는 “모두의 안녕과 행복, 세상의 평화는 서로 동무가 되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말한다.
밤이랑 달이랑 시리즈
이 시리즈는 ▲내 거야 다 내 거야 ▲이불은 안 덮어 ▲친구랑 안 놀아 ▲하나도 안 괜찮아 ▲우유는 안 마셔 ▲훌훌 도르르 마법 병원 ▲꽁꽁 사르르 비밀의 밤 등 총 7권의 그림책으로 구성됐다. 저자인 노인경 작가는 ‘책청소부 소소’로 볼로냐 국제아동도서전에서 2012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로 선정된 바 있다.
백 살이 되면
이 책은 황인찬 시인이 2021년 현대문학상을 받은 작품인 ‘백 살이 되면’을 그림책으로 표현했다. 그림책은 “아침에 눈을 뜨지 않아도 된다면 좋겠다”고 시작한다. 누군가는 죽음을 연상할지도 모르지만 책은 푹신한 이불 속에서 몸 한번 일으키지 않고 귀만 열어 빛의 온기를 받는 휴식을 전한다.
시장에 가면~
책에는 아이와 토리가 ‘무언가’를 찾으러 노량진수산시장에서 출발해 남대문시장까지 서울에 있는 16개의 전통시장과 을지로 가구조명거리 등 특색 있는 거리를 돌아다니는 여정이 담겼다. 시장마다 고유의 특징을 살린 풍경을 감상하며 곳곳에 숨어 있는 친구들을 만나는 이야기다.
여름, 제비
어릴 적 시골에서 봤던 제비와의 추억을 떠올리며 구윤미 작가와 김민우 작가가 함께 만든 그림책이다. 책은 제비 가족의 모습부터 한적한 시골 마을의 풍경,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빗소리 등이 한데 어우러져 있는 이야기와 그림을 통해 추억 속으로 안내한다.
여름의 선
책은 해마다 찾아오지만 새로운 눈으로 보기만 하면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여름 이야기다. 작가는 “여름이면 언제나 선이 먼저 찾아온다”고 말한다. 작가는 또한 “세계 속에 있는 선이야말로 진정한 여름의 배꼽이고 여름 바다, 여름의 섬”이라고 강조한다.
오리는 책만 보고
책에 푹 빠진 오리와 그 오리를 노리는 악어의 이야기를 다룬다. 책에서 오리는 악어가 나타나 가까이에 와도, 악어가 이리저리 휙 움직여도 책만 본다. 악어는 이제 오리보다 오리가 보는 책을 궁금해한다. 과연 악어는 점심으로 오리를 먹을 수 있을까.
자, 맡겨 주세요!
뭐든 척척 해결하는 오!박사. 기발하게 고민을 싹 해결해 주는 듯하지만 더욱 상황을 나쁘게 만드는 무한 반속 악순환에 말려든다. 책은 누군가에게 책임을 미루며 지구의 심각한 미래를 외면하지 않는지 생각하게 만든다. 책은 내가 살아가고 있는 지구와 함께 사는 동식물을 살필 기회를 제공한다.
접으면 FOLD AND UNFOLD
이 책은 독자가 직접 접으면서 읽는 방식으로 제작됐다. ‘접으면’은 접고 펼칠 수 있는 성질을 이용했다. 종이를 접으면 가려지는 면이 생기고 넘기면 좌우 페이지가 맞물린다. 책은 손으로 접으며 종이를 넘기는 행위에 의미를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