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이 오는 4일로 확정되면서 찬반 단체들은 긴장 속 총력 대응을 예고하고 있다.
윤 대통령 탄핵을 촉구해 온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은 선고일 공지 이후 “매우 늦었지만 당연한 결과”라며 “파면 선고 때까지 중단 없이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비상행동은 헌재 앞에서 선고 당일까지 탄핵 촉구 집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반면 탄핵 기각을 주장해온 ‘대통령 국민변호인단’은 경찰 지침에 따라 헌재 앞 기자회견과 농성을 마무리하는 수순에 들어갔다.
경찰은 이날 오후 1시부터 헌재 인근 100m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기자회견을 불허하는 등 안전 관리에 나섰다.
국민변호인단은 “29일 차 무제한 기자회견을 마무리한다”며 “석동현 단장과 농성에 함께했던 분들과 향후 농성장의 거취를 결정하는 협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들의 반응도 엇갈렸다.
탄핵을 찬성하는 시민들은 “너무 늦었다”, “기각될 경우 수용이 어려울 것 같다”며 선고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직장인 오모(28)씨는 “군인들이 국회 창문 깨고 들어간 게 탄핵 사유가 아니면 뭐냐”며 “잘못이 명백한데 너무 늦게 나왔다”고 말했다. 이어 “직장에서 속보를 보고 너무 기뻤다”며 “인용이 당연하지만 막상 선고가 다가오니 긴장이 된다”고 덧붙였다.
김모(40)씨는 “정치권 갈등 때문에 국정 공백만 길어지고 있다”며 “국민은 먹고사는 문제로 힘든데,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헌재가 책임 있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탄핵에 반대하는 시민들은 “여론에 밀려 성급히 결정한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내비쳤다.
박모(29)씨는 “계엄 논란은 시간이 걸려야 판단할 문제”라며 “헌재가 너무 정치적 여론에 흔들리는 게 아닌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진모(52)씨는 “4대 4 기각을 예상한다”며 “우리나라가 공산화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고, 대통령은 직무에 복귀해 국가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