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악관 ‘에너지 지배위원회(이하 위원회)’는 한국과 일본에게 수 주 내에 알래스카산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계획을 공식적으로 약속할 것을 압박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4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위원회의 미국 당국자들은 한일 각국의 통상 관계자들이 6월 2일 알래스카에서 열리는 회의에 한일 통상 관계자들을 참석하게 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이 때 한일이 알래스카 LNG 투자의향서(LOI)에 서명했다고 발표하길 기대하고 있다. 대만은 이미 지난달 알래스카산 LNG를 구매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한 바 있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알래스카의 북부 프루도베이 가스공장에서 시추한 천연가스를 파이프라인으로 남부 니키스키까지 1300㎞ 옮긴 뒤 아시아로 수출하는 초대형 에너지 사업이다.
총 사업비는 약 440억 달러(약 63조원)에 달한다. 이 프로젝트 추진 배경은 미국의 LNG 수출 국가 중 아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낮기 때문이다.
이 LNG 프로젝트는 2012년에도 한 차례 거론됐으나 무산된 바 있다. 투자 비용이 막대해 사업성 부족 등 문제가 부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협상 카드를 지렛대 삼아, 아시아 국가들의 프로젝트 참여를 촉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초 의회 연설에서 “우리 행정부는 또한 알래스카에서 전세계에서 가장 큰 거대한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일본, 한국 그리고 다른 나라들이 각각 수조달러를 투자해 우리 파트너가 되길 원하고있 다”고 한국을 지목해 언급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세계 대상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한국산 수입품에는 25%를 책정했다. 상호관세는 90일간 발효를 유예했으나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에 대한 25% 품목별 관세는 이미 발효돼 한국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관련 협상을 위해 한미 양국은 지난 24일부터 워싱턴에서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를 진행하고 있다.
다만 통상 협의를 이끌고 있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에게 NYT의 보도와 관련 이번 협의에서 논의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6월 알래스카 서밋은 알고 있으나 “LOI (서명) 압박이라는 것은 처음 듣는 얘기”라고 잘라 말했다.
안 장관은 알래스카 LNG 사업에 대해 “현지 상황을 보다 좀 정확히 파악해야 할 부분이 많다”며 그 이후 어떻게 진행되는 지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