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열린 한미 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의 소셜미디어(SNS) 폭탄 발언에도 따뜻한 환대로 시작해 긍정적인 분위기로 마무리됐다는 평가가 외신에서 나오고 있다.
이재명이 타국 사례를 교훈 삼았다는 분석과 함께, 트럼프가 한국 정상과 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관계를 강조한 점도 조명됐다.
영국 BBC는 이날 한미 정상회담이 끝난 후 “이재명이 ‘오벌오피스(집무실) 서프라이즈’를 피하면서 모두가 미소 짓고 있다”고 평가했다. 방송은 “해외 지도자가 집무실에 들어서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 누구도 알 수 없다”며 앞서 트럼프와 회담에서 낭패를 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언급했다. 이어 “이재명은 트럼프와의 공개적인 만남을 긍정적으로 마무리하면서 오늘 그러한 운명에서 벗어났다”며 “두 정상은 서로에 대한 칭찬과 한미 경제 및 안보 관계에 대해 아낌없는 찬사를 보냈다”고 전했다.
외신들은 이날 회담에 앞서 트럼프가 SNS를 통해 돌연 이재명 정부를 공격하는 듯한 발언을 내놓으면서 위기감이 높아졌지만, 이재명이 트럼프에 대한 칭찬 세례로 회담을 시작하며 분위기를 바꿔놨다고 평가했다.
AP통신은 ‘트럼프의 초기 경고는 아첨 후 따뜻한 환영으로 바뀌었다’라는 분석 기사에서 “이재명이 집무실 장식을 아낌없이 칭찬하고 한반도 평화를 위한 노력을 요청하며, 심지어 북한에 트럼프 타워 건립까지 제안하자 적대적인 회담이 이뤄질 모든 가능성은 완전히 사라졌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 화기애애한 모습은 세계 정상들이 트럼프와 과거 회담에서 교훈을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그들은 대체로 유리한 무역 조건과 미국의 지속적인 군사 지원을 요구하면서 대결보단 칭찬과 찬사의 길을 택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포스트(WP)도 “이재명은 트럼프의 집무실 새 단장, 전 세계에서 평화 노력, 최근 다우존스 지수 최고치 경신 등에 대해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며 “트럼프가 북한에 트럼프 타워를 짓고 골프를 쳐야 한다는 농담을 던져 스스로 미소를 자아냈다”고 보도했다.
폴리티코는 “이재명의 매우 정중한 접근 방식은 칭찬과 상징적인 제스처로 트럼프를 안심시키려 했던 다른 정상들의 전형을 따른 것”이라며 “신임 정상으로서 핵심 무역 관계와 안보, 국방 중심의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강화하려는 더 넓은 목표를 반영했다”고 분석했다.
외신은 트럼프가 김정은을 칭찬하며 북미 정상회담을 재개하길 원한다고 강조한 점에도 주목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한국 정상과 회담에서 북한 독재자를 거듭 칭찬하다’ 제하의 기사에서 “트럼프는 한국 정치에서 가장 까다로운 현안 중 하나에 직접 개입하려는 듯 김정은과 좋은 관계를 언급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남북 정상회담 주선까지 제안했다며 “북한을 잠재력이 큰 나라라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특히 “트럼프가 세계 권위주의 지도자들을 종종 호의적으로 언급해 온 점을 고려할 때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다”라면서 “이재명이 옆에서 별다른 이견을 내지 않은 채 듣고 있던 점과 함께 이번 발언이 나온 맥락은 인상적”이라고 덧붙였다.
파이낸셜타임스(FT)도 트럼프가 김정은과 회담을 희망한다고 언급한 점을 주요 내용으로 조명했다. 이재명도 이를 지지했으며 “북한에 트럼프 타워를 짓고 골프를 치길 기대한다”고 농담한 점도 함께 전했다. 무역 문제 관련 “근본적인 갈등이 어느 정도 해소됐는지는 불분명했다”며 “트럼프가 회담 전 한국의 국내 정치 환경을 비판한 건 여전히 극복해야 할 장애물이 있음을 강조한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