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대표는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 대통령 초청 여야 대표 오찬에 참석한 후 오후 1시20분터 1시50분까지 30분간 이 대통령과의 단독회담을 갖고 정치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 대통령 취임 100일을 사흘 앞두고서다.
장 대표는 이 대통령에게 “(최교진) 교육장관 후보자가 국민 눈높이에 미흡하다”고 말했다고 박성훈 수석대변인이 영수회담 결과 백브리핑에서 전했다.
또 장 대표는 “특검 수사 진행 와중에 민주당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수감시설) CCTV를 열람한 인권침해적 활동을 한 것은 대통령이나 정부가 수사에 개입하고 있다는 인식을 준다”고 말했다.
이어 “오랫동안 되풀이돼 온 정치보복 수사를 끊어낼 수 있는 적임자가 이재명 대통령”이라고 했으며 “특검 기간 연장, 내란 특별재판부 설치, 대법관 증원 같은 사법파괴 시도에 강력한 우려와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아울러 장 대표는 “국민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대해 반대한다”고 했다. 특히 “검찰 해체 시도와 관련해서는 수사체계에 혼선이 가지 않도록 정부가 세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야당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답했다고 박 수석대변인은 전했다.
박 수석대변인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장 대표가 ‘무리한 야당 탄압’과 ‘끝없는 내란몰이’에 대해 항의하자 “정치가 만인 대 만인의 투쟁으로 번져서는 안 된다. 그리고 정치의 사법화를 우려한다”고 언급했다.
장 대표는 이 대통령에게 양도세 대주주 기준 상향, 노란봉투법과 더 센 상법 및 방송법에 대한 보완 입법, 공영방송 장악 시도에 대한 조치 등도 요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공감한다”고 답했다고 한다.

장 대표는 앞선 오찬 회동 모두발언에서 이 대통령에게 특검 연장을 위안 법안과 내란 특별재판부 설치를 위한 법안이 여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할 경우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할 것을 공개적으로 건의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거부권 행사를 건의한 부분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구체적인 답을 주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대해 이 대통령이 ‘야당 의견을 듣겠다’고 밝힌 데 대해 “검찰개혁과 관련해 속도 조절하겠다는 것으로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여야는 이날 회동에서 장 대표가 제안한 민생경제협의체의 가동을 위한 후속 협의를 진행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와 관련해 박 수석대변인은 “민생에 실질적으로 도움 될 수 있는 부분을 여야정이 머리 맞대고 함께 찾아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오늘의 메인 주제는 정치의 복원이라고 써도 좋을 것 같다”며 “야당으로서 할 수 있는 모든 얘기를 전달했고, 이 대통령은 ‘상생과 화합이라는 큰 틀에서 야당의 목소리를 귀담아듣겠다’고 이야기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민주당의 일방독주에 대해 이 대통령도 특정 진영의 이익을 위한 정치를 하지 않겠다는 뜻을 표한 것으로 이해한다”고 덧붙였다.
대통령과 야당 대표의 영수회담 정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필요시에는 언제든지 당대표가 만남을 요청하고 대통령께서 거기에 맞춰서 회담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며 “수시로 여야 영수회담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장 대표가 이날 정청래 민주당 대표와 악수한 것과 관련해서는 “정 대표가 ‘악수는 사람과 하는 것’, ‘싸이코패스’ 등 발언을 했지만 개의치 않고 당당하게 제1야당 대표로서의 품위를 보여줬다. 품격 있는 정치를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