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의 부모님은 누구보다 성실하게 살아오셨지만, 국민연금만으로는 은퇴 생활이 든든하지 못했습니다. 예상보다 훨씬 가파른 물가 상승은 20년 전의 기대와는 전혀 다른 현실을 만들어 놓았고, 결국 지금은 딸의 보조 없이는 생활을 이어가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부모님을 도우며 감사한 마음도 크지만, 충분히 해드리지 못하는 미안함이 늘 함께합니다. 동시에 우리 가정의 미래 또한 준비해야 한다는 부담이 교차하면서, 부모와 자녀 모두가 겪는 재정의 무게를 절실히 느끼곤 합니다. 나와 같은 상황의 고객분들도 있지만, 요즘은 반대로 부모가 성인 자녀를 부양하면서 또 다른 현실적 어려움에 직면해 상담을 요청하는 경우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자녀가 자라 집을 떠나면 오랫동안 아이들로 북적이던 집이 조용해지며 허전함이 찾아오는 시기라고 해서 ‘빈 둥지(empty nest) 시기’라고 합니다. 본래는 부모가 스스로를 돌아보고 새로운 출발을 준비해야 할 중요한 전환점이지만, 요즘 현실은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성인이 된 자녀가 여전히 독립하지 못해 부모의 재정지원을 필요로 하고, 은퇴 후에도 재정 부담을 이어가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상담 현장에서 만나는 많은 부모들이 “이제는 내 노후만 생각하면 된다”고 말하지만, 곧 자녀 지원 문제로 다시 불안감을 털어놓습니다. 생활비, 주거비, 학자금 대출까지 부모가 떠맡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결국 부모 세대는 어느 정도 노후 준비를 해두었다 해도 다시금 재정적 부담을 안게 되고, 그 속에서 감사함과 미안함, 책임감과 불안이 뒤섞이는 현실을 맞이합니다.
그렇기에 빈 둥지 시기는 허전함이 아니라 오히려 재정을 다시 점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야 합니다. 부모와 자녀 모두가 서로의 상황을 인정하고 재정적 독립과 균형을 목표로 함께 대화를 시작해야 합니다. 부모는 은퇴 자산을 지켜야 하고, 자녀는 조금씩이라도 스스로 기반을 다져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도움이 될 몇 가지 점검 사항이 있습니다.
첫째, 자녀와 재정적 독립에 대해 대화하세요. 부모의 은퇴 자금이 흔들린다면 결국 모두에게 힘든 결과가 됩니다. 함께 계획을 세워야 자녀는 자립을 배우고 부모는 안심할 수 있습니다.
둘째, 현재의 주거를 다시 돌아보세요. 아이들이 떠난 집은 관리비와 유지비가 과도할 수 있습니다. 규모를 줄이거나 은퇴 전 남은 기간 동안 대출을 줄여나가는 것만으로도 훨씬 가벼운 은퇴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
셋째, 은퇴 준비를 다시 점검하세요. 자녀 양육에 들어가던 비용을 이제는 본인을 위한 은퇴계좌에 불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작은 차이 같아도 시간이 지나면 큰 격차가 됩니다.
넷째, 가족을 위한 유산 계획을 세우세요. 유언장이나 신탁을 정리해두고, 필요하다면 기부 계획까지 세워두면 마음은 가벼워지고 가족에게는 든든한 보장이 됩니다.
빈 둥지 시기는 아이들을 잘 키워냈다는 성취감을 바탕으로, 나와 배우자를 위해 더 깊이 있는 삶을 준비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의 시작입니다. 동시에 부모와 자녀 모두가 현실을 이해하고 균형을 찾아간다면, 은퇴 후의 시간은 공허함이 아닌 기대와 설렘으로 채워질 것입니다.
Jane Shin
JS Financial, Inc. 대표
연락처: 224-213-5230 또는 이메일 jsfinancialpro@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