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romCaliToMars
지난 2월 NASA의 퍼서비어런스 (‘Perseverance’)가 화성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까지 과정 뒤에는 NASA의 항공우주 엔지니어이자 이번 미션의 비행 디렉터였던 디아나 트루질로가 있었다.
트루질로는 NASA의 Jet Propulsion Lab 소속으로 퍼서비어런스가 화성의 돌을 집어 올릴 수 있는 로보틱 팔을 제작하는 데 일조했다.
또한 그녀는 NASA가 퍼서비어런스 화성 착륙 중계 때 최초로 시도한 스패니쉬 라이브 스트림이었던 ”Juntos perseveramos”(“Together we persevere”)의 호스트를 맡았고 이 쇼는 유투브에서 250만 뷰를 기록했다.
콜롬비아 출신인 트루질로는 17세 때 부모가 이혼하면서 홀로 미국으로 떠나기로 결심하고 단돈 300달러를 들고 영어 한마디 하지 못한 채 미국으로 떠나왔다. 학비를 대기 위해 하우스키핑 일을 하며 2007년 NASA에 입성했다.
그녀는 남의 집 화장실 청소를 하면서도 상황에 불만을 갖지 않고 직업을 갖고 음식을 살 수 있으며 잠을 잘 수 있는 집이 있음에 감사함을 느끼며 살아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마음가짐이 지금의 그녀를 있게 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트루질로는 여성을 무시해온 자신의 가족에게 여성도 가치가 있고 중요한 일을 이뤄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해왔다.
University of Florida에서 전공을 정해야 하는 시기에 우연히 여성 우주비행사들에 관한 매거진을 접하고 관심을 갖게 되면서 항공우주 엔지니어링을 전공으로 택한 트루질로는 이 분야에 여성은 물론이고 히스패닉이나 스패니쉬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거의 없다는 사실을 느끼며 꾸준히 한길을 걸어왔다.
트루질로는 이제부터 자신이 행하는 모든 업적이나 연구 성과는 본인 뿐만이 아닌 모든 여성, 특히 히스패닉 여성으로서도 큰 의미가 있음을 알고있다고 전했다.
또한 자신의 조국, 문화적 유산, 민족을 대표하는 한 사람으로서 큰 책임감을 느끼고 매순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Student Research Foundation의 조사에 따르면 STEM 분야 직업군에서 히스패닉은 단 8%만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히스패닉 여성은 단 2%에 불과하다. 트루질로는 보다 많은 여성들이 자신을 롤모델로 삼아 유리천정을 깰 수 있는 힘을 기르길 바란다고 전했다.
<강수경 기자>
관련기사 ‘놀라운 화성의 오늘 모습’…’퍼서비어런스’가 보내온 사진들
관련기사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 “여기는 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