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상용차와 대형엔진 메이커 히노(日野) 자동차가 20년 동안 배출가스와 연비 성능에 관해 부정조작을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고 닛케이 신문 등이 지난 3일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그간 히노 자동차의 엔진 배기가스와 연비 문제를 조사한 특별조사위원회는 전날 동사가 관련 규제를 시작한 2003년 이래 생산 차종의 열화 내구시험 때 부정행위를 저지른 사실이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외부 변호사 등으로 구성한 특별조사위원회는 히노가 제조 차량의 판매허가를 받기 위해 규제를 실시한 2003년 10월 이전부터 부정행위를 했다고 판단했다.
히노는 지난 3월 부정사실을 공표하면서 2016년 가을 이후 시험을 시행한 트럭과 버스 8개 차종에 대해 배출가스와 연비를 조작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조사 결과 부정조작을 저지른 시기와 범위가 넓어졌다고 매체는 지적했다.
조사위는 연비와 관련해서도 2005년 규제 이래 주로 대형 엔진에서 부정행위가 있은 사실도 밝혀냈다.
앞서 미쓰비시 자동차의 연비 부정조작이 들통나자 일본 국토교통성은 2016년 인증취득 때 배출가스와 연비 시험에 부적절한 사실이 있었는지를 보고하도록 했는데 히노는 허위 보고를 했다고 한다.
이번 특별조사위원회의 조사 대상은 일본 국내시장에 한정했다. 각국 법규가 다른 해외시장에선 히노 측이 계속 조사를 진행한다.
히노의 부정 범위가 확대함에 따라 국토교통성은 히노에 대한 현장검사를 다시 벌일 계획이다.
국토교통성은 부정행위를 밝힌 엔진 외에도 현행 생산엔진 14기종 가운데 12기종에 배출가스 장거리 내구시험 부정이 있었다고 확인했다.
이중 건설기계용 등 4기종은 기준에 적합하지 않았고 8기종 경우 기준에 부합했다고 한다.
히노 측은 기준 부적합 차량의 생산을 자체적으로 정지했지만 국토교통성은 기준 적합 차량에 대해서도 출하를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기준 부적합 엔진을 탑재한 차량을 리콜하도록 하는 지도 조치도 취했다. 리콜 대상 차량은 2만900대에 달한다.
히노 자동차는 판매 부진으로 경영위기에 빠지자 최대 자동차 메이커 도요타가 2001년 출자 비율을 종전 36.6%에서 50.1%로 늘리면서 자회사로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