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주최하고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가 주관한 ‘항생제 다제내성균 요로감염의 효과적 통합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배성락 의정부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를 인용해 경고했다.
배 교수에 따르면 ‘슈퍼 박테리아’로 불리는 이 세균은 카바페넴계 항생제 등 여러 종류의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장내세균(CRE)을 말한다.
의료기관의 CRE 감염증 환자 발생 신고 건수는 2017년 5717건에서 매년 증가해 2023년 3만 8405건으로 크게 늘었다. 또 지난해 상반기(1월~6월)에는 총 2만 5533건 신고돼 더 가파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CRE 감염증으로 인한 사망자는 5년 사이 37명에서 633명으로 17.1배가 됐다. 지난해 상반기엔 이미 439명이 이 감염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LA 하수시설서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첫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