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5일(현지 시간) 신당 창당을 전격 선언했다.
머스크는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여러분들은 새 정당을 원했고, 이제 그것을 갖게 될 것”이라며 “오늘 여러분들의 자유를 되찾기 위해 ‘아메리카당’이 창당된다”고 밝혔다.
그는 “낭비와 부패로 우리나라를 파산시키는 일에 있어서는 우리는 민주주의가 아니라 사실상 일당제 국가에 살고 있다”며 창당 취지를 밝혔다.
머스크는 독립기념일이었던 전날 “양당제(어떤 이들은 일당제라고도 부른다)로부터의 독립을 원하느냐”며 온라인 투표를 진행, 창당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이 투표에는 약 125만명이 참여해 65.4%가 찬성표를 던졌다.
그는 또 다른 글을 통해서는 “이것을 실행하는 한 가지 방법은 상원 의석 2∼3석과 하원 선거구 8∼10곳에 집중하는 것”이라며 “매우 근소한 의석수 차이를 고려할 때 그것은 논쟁적인 법안에 결정적인 표가 되기에 충분할 것이며 진정한 국민의 의지를 반영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과 한때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지만,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감세를 골자로 한 OBBBA에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며 갈등이 불거졌다.
해당 법안은 테슬라의 수익 기반이었던 각종 전기차 인센티브와 배출권 거래제도를 무력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머스크의 이해관계와 충돌해 왔다.
이번 신당 창당은 내년 11월 중간선거를 겨냥한 전략적 포석으로도 해석된다.
머스크는 기존 양당에 실망한 중도 유권자층을 흡수해 상·하원에서 일정 의석을 확보하고, 공화당이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을 단독으로 밀어붙이는 것을 저지하겠다는 계산으로 보인다.
그러나 신당 창당의 현실적 난관도 만만치 않다.
미국은 주별로 정당 설립 요건이 제각각이며 기성 정당에 유리한 제도로 인해 전국 정당으로 발돋움하기 위해선 수백만 달러에 이르는 자금과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전망도 있다.
CBS는 “머스크처럼 막대한 자금을 보유한 인물조차 미국에서 새로운 전국 정당을 창당하는 건 쉽지 않은 일”이라고 지적했다.
선거 전문가 브렛 카펠도 “모든 주의 법률이 양대 정당에 유리하게 설계돼 있다”고 꼬집었다.
워싱턴포스트(WP)는 “공화당과 민주당 이외의 정당이 대통령 선거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낸 것은 1968년 미국 독립당의 조지 월리스가 마지막”이라며 제3당의 부상 가능성에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