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바이든 대통령이 오는 2월7일 국정연설 이후 2024년 재선 도전을 본격화하리라는 보도가 나왔다.
의회전문매체 더힐은 18일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바이든 대통령이 2월7일 국정연설 이후 두 번째 임기 도전을 시사할 의도”라며 “더 공식적인 선언은 봄에 가까울 것”이라고 보도했다.
올해 80세 고령인 바이든 대통령의 2024년 재선 도전은 미국 정계 초미의 관심사다. 일각에서는 종종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에 도전하지 않으리라는 관측도 나왔지만, 재선에 도전하리라는 전망이 보다 지배적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미국 중간선거 이후 기자회견에서 2024년 대선 출마와 관련해 “내 의도는 다시 출마하는 것”이라면서도 “궁극적으로 가족이 결정할 문제”라고 발언해 즉각적인 입장 표명은 피했었다.
아울러 당시 바이든 대통령은 추수감사절과 성탄절 연휴 사이에 가족들과 논의를 거쳐 “내년 초쯤 판단을 내릴 것”이라고 했는데, 더힐이 예측한 시기는 당시 발언과 맞아떨어진다.
바이든 대통령 대선 관련 계획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더힐에 “아직 논의 중이며,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다”라고 전했다. 특히 최근 불거진 바이든 대통령 기밀문서 발견 영향도 미미하다는 전언이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 개인 변호사들은 중간선거를 며칠 앞둔 지난해 11월2일 펜 바이든 외교·글로벌 참여 센터에서 기밀 인장이 찍힌 문서를 발견, 국가기록원에 보고한 바 있다.
이후 델라웨어 자택에서도 기밀문서가 발견되며 미국 법무부는 결국 이 사건을 수사할 특별검사(특검)를 임명한 상황이다. 특검으로 임명된 로버트 허는 한국계로, 공정하고 냉정한 조사를 예고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기밀문서와 관련해 자신도 놀랐다며 문건에 무엇이 담겼는지 모른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상황 진행에 완전히 협조하고 있다고도 했었다.
기밀문서 논란이 일고는 있지만, 바이든 대통령 진영은 해당 논란보다는 경제에 미국인의 관심이 집중되리라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역시 기밀문서와 관해 압수수색까지 거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진영은 이 문제를 꾸준히 이슈화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지난해 중간선거를 통해 하원 과반을 장악한 공화당도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제임스 코머 하원 감독개혁위원장은 이와 관련, 18일 메리 엘리자베스 매길 펜실베이니아대 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문건이 발견된 펜 바이든 센터에 접근할 수 있는 이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해당 장소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만난 방문객 정보를 비롯해 시설 보안 등에 관한 정보를 오는 2월1일까지 제출하라고 요청한 것으로 더힐이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