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에서 고학력자일수록 같은 직업끼리 혼인하는 비율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그 비율이 가장 높은 직업은 의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포스트(WP)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직업과 결혼 간 상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 미국 의사들은 18.5%가 같은 의사끼리 결혼해 동종 직업 결혼 비율이 가장 높았다.
교수끼리 결혼하는 비율이 13.9%로 식당·호텔 관리자와 함께 공동 2위를 차지했다. 이어 농장 관리자(13.3%), 법조인(13.0%), 치과의사(11.1%), 약사(11.1%), 소프트웨어 개발자(10.6%), 초등학교 교사(9.8%) 순으로 동종 직업 결혼비율이 높았다.
WP는 고학력을 요구하는 직업끼리 결혼하는 비율이 높은 이유에 대해 “길고 힘든 공부를 했던 경험이 연인 관계를 맺는데 도움을 주는 것인가? 아니면 오랫동안 학업으로 우리에 갇힌 상태여서 파트너를 찾을 범위와 기회가 제한되기 때문인가?”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의사의 경우는 후자가 맞는 것으로 분석했다. 의사는 공부를 많이 해야하는 직업의 특성상 파트너를 찾을 범위와 기회가 제한된다. 미국 의사들은 5명 중 1명이 같은 의사와 결혼했다. 이는 대체로 30대 초반까지도 의대에서 공부를 해야 하는 점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인다.
WP는 반대로 동종업계가 아닌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과 결혼한 비율이 높은 직업군도 분석했다.
소방관 중 9.7%는 간호사와 결혼한 것으로 집계됐고 초·중등 교사와 결혼한 비율은 6.8%였다. 또 경찰관이 초·중등 교사와 결혼한 비율은 5.9%, 간호사와 결혼한 비율은 5.8%였다.
이는 직업의 성별 분포도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성별 불균형이 큰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다른 직업을 가진 곳에서 사람을 만나야하기 때문이다. 소방관이나 경찰관은 남성 종사자가 많은 만큼 동종 업계 외에서 커플이 될 확률이 높다. 여성도 간호사나 교사 직종은 여성 분포도가 높기 때문에 남성 분포도가 높은 직업을 가진 사람과 결혼이 성사된다는 것이다.
WP는 맞벌이가 당연시되는 시대에 외벌이 가정이 많은 직업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조사 결과 남성 종사자가 많고 생산직에 육체노동 위주인 직업이 외벌이 가정이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 중 1위는 군인이다. 실제로 군인은 직장에 나가지 않는 배우자를 둔 비율이 40%를 넘겼고, 원유·건설·농장 등 생산직 종사자도 직장에 나가지 않는 배우자를 둔 비율이 30%를 웃돌았다.
WP는 이 같은 결과를 군인의 직업 특수성에 있다고 보았다. 군인은 승진을 할 때 대체로 다른 주나 해외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 일반적으로 20∼30대에 고된 근무를 해야 되기 때문에 군인의 배우자는 가족이나 친구와 떨어져 자녀를 돌보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트렌드]결혼식 대신 스몰이벤트 변화 추세.. LA웨딩에 3만1천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