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율이 관세 등 경제 정책에 대한 반감과 이른바 ‘시그널 스캔들’ 등 영향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최저치로 하락했다.
3일 정치 매체 더힐에 따르면 이날 로이터와 여론조사 업체 입소스가 공개한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43%로 지난 3월 실시한 조사(45%)와 비교해 2%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1월20일 취임한 직후 진행한 여론조사에선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47%를 기록했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전반적인 경제 대응에 대한 지지율은 37%, 높은 생활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그의 노력을 지지하는 비율은 30%에 그쳤다.
응답자의 52%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관한 관세가 미국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또 이와 비슷한 비율의 응답자는 관세 인상이 득보다 실이 많을 것이라고 했다.
반면 공화당 성향 유권자의 30%는 관세가 경제를 해칠 것이라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의 무역 적자 폭이 큰 교역 상대국에 추가 세율을 부과하는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은 중국에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이는 기존 중국에 적용해 온 20%의 관세를 더하면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제품의 관세는 54%로 급등하게 된다.
예멘 후티 반군에 대한 미국의 공습 계획을 논의하는 채팅방에 실수로 기자를 초대하면서 불거진 시그널 스캔들과 관련해 응답자의 74%는 이런 방식으로 군사 작전을 논의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답했고,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응답자의 비율은 22%였다.
응답자의 70%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사태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34%로 지난달 조사(37%) 때보다 3%포인트 하락했다.
여론조사는 지난달 31일부터 지난 2일까지 미국 성인 1486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뤄졌고 표본오차는 ±3.0%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