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방총무청(GSA) 직원들이 백악관 평면도 등 민감한 정보를 모든 직원이 볼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유한 사실이 드러났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0일 보도했다.
GSA 감사실은 최근 청 내 구글 클라우드 서비스인 ‘구글 드라이브’ 사용에 대한 보안 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정보를 부적절하게 관리했다는 기록을 확인해 이를 보안 부서의 사고 대응팀에 서면 통보했다.
GSA 전체 직원 수는 1만1200명이 넘는다.
이런 자료들은 1년여간 공개된 상태로 방치됐다고 한다.
또 백악관 방문센터의 방폭 문 설계도와 트럼프 행정부 들어 기자회견을 지원한 업체의 은행 정보 등이 공유됐다.
GSA 감사실이 지적한 정보들이 기밀에 해당하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최소 공유된 15개 파일 가운데 9개는 ‘제한된 비기밀 정보(CUI·Controlled Unclassified Info)’라는 표시가 붙어 있었다고 WP는 전했다.
미국과학자연맹(FAS)에서 국가기밀 전문가를 지낸 스티븐 애프터굿은 “백악관 비공개 구조물, 통로, 보안 장치가 다뤄지면 기밀로 분류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애프터굿은 “기밀이 아니라 하더라도 보안상의 이유로 (기밀에) 근접하게 다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기밀 유출 논란이 불거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미국 고위 관리들이 지난달 민감한 군사 작전을 논의하는 데 사용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시그널 단체 채팅방에 디애틀랜틱의 제프리 골드버그 편집장이 초대돼 기밀이 유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채팅방에는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외 JD 밴스 부통령,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 등이 있었다.
이밖에 왈츠 보좌관이 평소 업무 처리에 민간 이메일인 구글의 ‘지메일’을 썼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바이든 행정부도 기밀 유출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 델라웨어 자택에 기밀문서와 노트북을 부주의하게 보관한 사실이 지난해 발간한 특별검사 보고서를 통해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