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턴은 2019년 해고당한 뒤 백악관 시절의 자신의 경험과 기록을 담은 저서를 출간해 트럼프의 미움의 표적이 됐지만 22일의 자택 수색에서 구금 당하거나 특정 범죄의 죄목으로 구속되지는 않았다고 현장 관련 한 소식통이 익명을 전제로 AP통신에 제보했다.
이번 압수 수색은 법무부가 대통령의 정적들에 대해 시작된 공개적인 조처로는 처음이어서, 트럼프행정부가 공화당의 정적들을 향해 사법 권력을 발동하기 시작한 것으로 주목되고 있다고 AP는 보도했다.
최근 트럼프 정부는 2016년 대선의 러시아 개입설 관련자들에 대해서도 수사를 재개했기 때문에, 이런 수사들은 미연방수사국(FBI)과 법무부가 트럼프에 대한 충성의 표시로 진행하고 있는 것 같다고 AP는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예고 없이 이 날 백악관역사협회를 방문한 자리에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자기도 볼턴 전 보좌관 자택 압수수색 소식을 들었다고 말했다. 곧 법무부의 보고를 들을 예정이라면서 그는 자기는 거기에 대해 별로 알고 싶어 하지도 않았고 지금도 그렇다고 말했다. 백악관도 압수수색이 법에 따른 절차일 뿐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주요 일간지들은 23일자 사설에서 일제히 이번 볼턴 자택 수색이 트럼프의 복수전이라는 요지의 비판적 사설들을 게재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 ‘트럼프의 복수 캠페인이 존 볼턴을 겨냥한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전날 볼턴 전 보좌관의 집과 사무실에 대한 FBI의 압수 수색을 비판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트럼프의 보복 차원 외에 다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며 볼턴이 트럼프 행정부의 국정 난맥상을 전하는 자서전을 써낸 것이 이번 표적 수사의 원인으로 보인다”고 썼다.
그 자서전은 기밀 사항을 담고 있는지에 대한 백악관의 검토 과정을 다 거쳐서 출판된 것인데도, 트럼프 대통령의 충성파인 캐시 파텔 FBI 국장은 볼턴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악감정’을 헤아려 볼턴 저서의 기밀 유출 혐의를 수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사설은 지적했다.
또한 “볼턴은 트럼프 대통령 재임 성공후 그의 결정에 대해 찬성과 반대 의견을 계속 밝혀왔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FBI의 압수수색으로 볼턴을 침묵하게 만들기를 바라지만 뜻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사설은 “진정으로 법을 위반하는 사람은 보복을 위해 권력을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듯 보이는 대통령”이라며 “우리는 이것이 트럼프 2기의 위험 중 하나라고 말했는데, 우리가 상상했던 것보다 더 나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적었다.
워싱턴포스트(WP)는 같은 날 사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볼턴 압수수색에 대해 질문받자 바이든 행정부 시절 기밀자료 유출 혐의 사건과 관련해 자신의 마러라고 자택이 압수수색 당했던 일을 상기하면서 “나는 (압수수색 당하는) 그 느낌을 안다”고 말한 데 주목했다.
유죄 판결로 연결될지 여부를 떠나 압수수색 자체가 당사자에게 주는 심리적 고통을 노리는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낳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WP 사설은 이어 “76세의 볼턴을 수사하는 것은 최고 사법 집행에 당파적인 편향성을 가미한것”이며 ‘트럼프 비판자’들의 과오를 먼지털기식으로 찾는 과정에서 이번 압수수색이 이뤄졌다고 지적했다.
볼턴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알래스카 미·러 정상회담 추진 과정에서도 “푸틴은 이미 승리했다”라고 비판하는 등 그 수위를 높인 것이 언론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두루 전파된 것도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유세 시절 자신의 정적을 표적으로 삼겠다고 반복해 다짐했다”라며, 재임에 성공한 뒤 트럼프 행정부는 빠르게 이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라고 WP는 보도했다.
뉴욕타임스(NYT)도 사설에서 볼턴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전쟁 중재 외교 등에 대해 비판해 왔다면서 이번 압수수색은 “트럼프 대통령의 비판자들을 향한 사법기관들의 새로운 보복 캠페인의 시작”이라고 규정했다.
K-News L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