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목재·가구·주방 캐비닛에 대한 대규모 관세 부과를 지시했다. 이번 조치로 최근 몇 달간 급등세를 보이는 주택 건설과 가구 비용이 추가로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9일 뉴욕타임스, CNN에 따르면 백악관은 이날 관세 세부안을 발표하며 시행 시점을 당초 예고보다 2주 늦춘 10월 14일로 조정했다. 관세율은 급격한 인상 대신 단계적으로 적용된다.
목재와 원목 수입품에 대해선 10%의 관세가 일괄 부과되며, 다른 품목처럼 보복성 추가 관세는 부과되지 않는다. 다만 가구와 주방 캐비닛에는 고율의 관세가 매겨진다. 소파 등 패브릭 가구는 25%에서 시작해 내년 1월 1일 30%로 오르고, 주방 캐비닛과 욕실 세면대는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가 자국 산업 보호와 국가 안보 강화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포고문에서 “공급망을 강화하고 산업 회복력을 높이며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한편, 국내 목재 생산능력을 극대화해 수출 확대 효과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포고문은 또 영국산 목재 제품에는 관세율을 10%로 제한하고, 유럽연합(EU)과 일본산 목재 제품은 15%를 넘지 않도록 상한을 뒀다.
이번 관세는 국가안보 관련 법률에 근거한다. 앞서 백악관은 지난 3월 상무부에 수입 제재목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지 조사하라고 지시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연질 제재목의 약 30%를 공급하는 캐나다를 겨냥해 “과도한 수출로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고 비판해 왔다.
그러나 업계 전문가들은 미국의 산업 생산능력이 수요를 감당하기에 부족하다며 관세가 목재 및 주택 건축 비용을 끌어올려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캐나다산 목재는 이미 평균 14.5%의 상계·반덤핑 관세를 부과받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기존 관세로 이미 가구 가격은 큰 폭으로 상승했다. 미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지난달 가구 가격은 전년 대비 4.7% 올랐고, 특히 거실·식당용 가구는 같은 기간 9.5% 급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