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이 시작된 가운데 의회 예산국(CBO)은 셧다운에 돌입하면 필수 인력을 제외한 연방정부 공무원 75만 명이 강제 무급휴가에 들어가게 된다고 밝혔다.
또 무급휴가에 돌입하는 연방정부 공무원들에 대한 보상금 지급으로 하루 4억 달러(약 5600억원)의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CBO는 추정했다.
30일(현지 시간) AP통신에 따르면 CBO의 이번 보고서는 공화당 소속인 조니 언스트(아이오와) 상원의원이 셧다운이 미국 경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연방정부 일일 손실 비용에 관한 질문에 답하면서 작성된 것이다.
앞서 상원은 30일 셧다운을 피하고자 7주짜리 공화당의 임시 예산안(CR)을 표결에 부쳤으나 찬성 55표 반대 45표로 부결됐다. 예산안이 상원을 통과하려면 최소 60표의 찬성표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10월 1일 0시 1분부터 연방정부가 셧다운에 들어갔다. 연방정부 운영에 필요한 예산이 끊기면서 공공 서비스 영역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CBO는 “셧다운 영향은 (연방정부) 폐쇄 기간과 행정부의 대응책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셧다운에 돌입하면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인 2018년 12월 이후 7년여 만에 셧다운 사태가 벌어진다. 당시 미국 역사상 최장기간인 35일간 연방정부가 폐쇄됐다.
한편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은 각 정부 기관에 셧다운에 관한 대응책을 마련할 것을 요청했다.
러셀 보트 OMB 국장은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메모에서 “영향을 받을 기관들이 질서 있는 셧다운 계획을 실행에 옮기고 있다”고 밝혔다.
보트 국장은 또 메모에서 “셧다운 기간은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