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종전협상 타결을 위해 크름반도에 대한 러시아 영유권을 인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키이우 인디펜던트와 RBC 우크라이나가 19일 보도했다.
매체는 해당 사정에 밝은 관계 소식통들과 블룸버그 통신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광범위한 우크라이나 평화협정 일환으로 러시아의 크름반도 지배권을 승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지부진한 종전협상을 서둘러 협정을 체결할 수 있도록 이 같은 양보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소식은 트럼프 대통령과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전날 미국이 평화협상이 조속히 진전을 보이지 않으면 중재를 포기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친 직후에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매체는 러시아의 크름반도 영유권을 수용하면 무력과 병합을 통한 영토 획득을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국제법과 조약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간 볼로드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크름반도를 포함해 우크라이나 영토를 한치라도 러시아에 넘겨주지는 않겠다고 언명해왔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도 일부 문제를 거론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종전안을 거부해왔다.
소식통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아직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종전협상에 관여하는 미국 고위관리는 진행 중인 협상의 민감성을 이유를 들어 크름반도의 러시아 영토 인정 가능성에 대한 언급을 피했다.
2014년 2월 러시아군은 크름반도를 침공해 점령하고 병력을 증강 배치했다. 당시 러시아군은 세바스토폴과 심페로폴에 있는 공항들을 폐쇄하고 크름의회 청사를 장악했다.
이후 3월 러시아 점령하 크름반도 의회는 러시아에 합병안을 가결했다. 합병안 투표는 국제감시단 없이 무장 러시아군이 감시하는데 실시됐다.
또한 러시아군은 크름반도에 주둔한 우크라이나군 기지를 봉쇄했다.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군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을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