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가 대만 유사시 집단적 자위권 발동 가능성을 언급한 가운데, 중국이 외교적 항의에 그치지 않고 자국민을 대상으로 한 일본 여행 및 유학 자제 권고 등 실질적 대응에 착수했다.
16일 중국 문화여유부(문화관광부)는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당분간 일본 여행을 자제할 것을 엄중히 당부한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일본에 체류 중인 국민들은 현지 치안 상황에 주의하고 자기 보호를 강화할 것”을 요청하며, 위급 상황 발생 시 즉시 주일 중국 대사관 또는 영사관에 연락해 도움을 받으라고 권고했다.
앞서 중국 외교부도 지난 14일, 일본 총리의 발언을 겨냥해 “대만 문제를 둘러싼 노골적인 도발로 중·일 간 인적 교류 분위기가 심각하게 악화됐다”며 “일본 방문 시 생명과 안전에 중대한 위험이 따를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중국 교육부 역시 이날 “일본에서 최근 사회적 불안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인을 겨냥한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며 유학 계획에 신중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중국국제항공 등 6개 항공사는 연말까지 일본행 항공권을 이미 구매한 승객에 대해 수수료 없이 취소·변경을 허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사실상 정부의 자제령 조치에 발맞춘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측의 이 같은 조치는 다카이치 총리가 지난 7일 일본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중국이 군사력을 동원해 무력행사를 감행한다면 존립위기사태로 간주할 수 있다”고 언급한 지 일주일 만에 나왔다.
일본 정부가 발언을 철회하지 않자, 중국이 경제적 파급력이 있는 조치를 통해 압박 수위를 높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일본정부관광국(JNTO)에 따르면 올해 1~9월 동안 일본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약 748만명에 달했다. 또 일본 학생지원기구 기준, 2024년 기준 일본 내 중국 유학생 수는 약 12만3000명으로 국가별 1위를 기록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