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크라이나 에너지 부패 스캔들을 수사 중인 국가반부패국(NABU)은 최근 올렉시 체르니쇼우 전 부총리에 대해 체포 영장을 청구했다고 현지 언론이 17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체르니쇼우는 국영 원전 기업 에네르고아톰 등의 대형 부패 사건과 관련해 불법 재산 축적 혐의로 기소됐다. 반부패국은 에네르고아톰 고위 임원 등이 국영 계약의 10~15%의 불법 리베이트를 챙겨 총 1억 달러 규모의 뇌물을 수수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 외에 7명이 더 기소됐는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측근인 티무르 민디치가 주범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반부패국이 공개한 녹취록에 따르면 체르니쇼우는 미화 120만 달러(약 17억5000만원)와 10만 유로(1억7000만원)를 수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범들을 녹취록에서 암호명을 사용했는데, 체르니쇼우의 별명은 ‘체 게바라’였다.
체르니쇼우는 또 이번 사건과 관련해 ‘돈세탁 사무소’를 방문한 적도 있다고 반부패국은 부연했다.
탐사보도 매체 비후스인포는 지난 12일 반부패국 녹취록을 인용해 그가 불법 수수한 자금으로 키이우 인근에 고급 주택을 지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체르니쇼우는 이 빌라가 자신과 민디치, ‘국가 지도부’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가 비리 사건에 연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6월 별도의 사건으로 뇌물 수수 및 직권남용 혐의로 기소된 바 있다. 당시 현지 언론은 그가 지역개발부 장관으로 있으면서 국유지 개발 승인 과정에서 약 34만5000달러의 뇌물을 받았고, 이 부당거래로 국가가 10억 흐리우냐(2400억원)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고 전했다.
그는 7월 1억2000만 흐리우냐(290만 달러, 약 42억원)의 보석금을 내고 석방됐다. 같은 달 말 부총리와 국가통합부 장관직에서 해임됐다.
그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2019년 취임한 이후 키이우 주지사와 지역개발부 장관, 국영 석유·가스 회사 나프토가즈 최고경영자(CEO) 등 정부에서 여러 직책을 맡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