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knewsla.com/wp-content/uploads/2024/02/새라박.jpg)
2025년, 변화하는 교육의 미래
2025년의 교육 환경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맞춤형 학습, 인간 중심의 기술, 평생 학습이 현대 교육의 핵심으로 자리 잡으며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전통적으로 청소년기에 집중적으로 교육을 진행하던 방식은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의 요구에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
대신, 정서 지능과 의사소통 같은 기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교육 모델에서는 종종 간과되었던 영역이다.
2025년 교육은 급변하는 세상에서 어떻게 학생들이 성공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지 살펴보자.
생성형 AI의 교실 활용
생성형 AI(예: ChatGPT)는 이미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2025년 교실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월튼 임팩트 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기준 K-12 교사의 79%, 학생의 75%가 ChatGPT와 같은 AI 도구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 중 교사의 46%와 학생의 48%는 매주 이를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교사들은 생성형 AI를 채점, 맞춤형 피드백 제공, 수업 자료 제작 등 다양한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학생들에게는 AI를 책임감 있게 사용하는 방법, 안전하게 활용하는 기술, 그리고 실제 인간의 판단이 필요한 경우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가르치는 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한국의 경우 2023년 7월 교육부 조사에 따르면, 학생의 79.2%, 교사의 61%가 AI를 활용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정기적으로 이를 활용하는 교사는 아직 10.9%에 불과하다. 이는 생성형 AI에 대한 교사들의 역량 강화와 효과적인 수업 적용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맞춤형 학습의 도입
모든 학생은 학습 스타일이 다르다. 어떤 학생은 비디오를 통해, 또 다른 학생은 그룹 토론이나 활동 기반 학습을 통해 더 잘 학습한다. 맞춤형 학습은 학생 개인의 강점과 약점에 맞춘 수업 계획, 평가, 학습 자료를 제공하여 이러한 차이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한국의 AI 디지털 교과서는 수학, 영어, 정보 교과에 AI 기술을 도입해 학생 맞춤형 학습을 지원한다. 수학에서는 AI 튜터링 기능을, 영어에서는 음성 인식 기능을 활용해 듣기와 말하기 연습을 돕는다.
로스앤젤레스 통합교육구(LAUSD)의 경우 AI 기반 학습 플랫폼을 도입해 학생들의 학습 스타일과 속도에 맞춘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2024년 3월에 도입된 AI 챗봇 ‘에드(Ed)’는 학생과 학부모에게 시험 결과, 출석 정보, 과제 알림 등을 제공하며, 통학 버스 일정, 학교 운동팀
스케줄, 독서 추천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가 개발사인 AllHere의 재정 문제와 학생 데이터 통합 및 보호와 관련된 우려로 인해 일시 중단되었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학습 플랫폼을 더욱 신중하게 개발하고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상 교실과 원격 학습의 확대
가상 교실(Virtual Classroom)과 원격 학습(Remote Learning)은 2025년의 교육 트렌드 중 하나이다. 가상 교실은 물리적 교실이 아닌 온라인 공간에서 수업이 이루어지는 환경으로, 학생들은 실시간으로 수업에 참여하거나 녹화된 강의를 시청하며 학습한다.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해 학생들은 고대 이집트의 피라미드를 탐험하거나 세포 구조를 3D로 시각화 하여 학습하는 등 몰입형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팬데믹 기간 동안 확산된 Zoom과 Google Classroom은 현재도 전 세계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다. 인공지능 튜터링 도구는 학생들이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받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학습을 지원하고 있다.
인간 중심 기술의 부상
기계가 데이터를 분석하고, 숫자를 계산하며, 보고서를 생성하는 데 점점 더 효율적이 되면서, 기계가 대체할 수 없는 인간적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능력, 정서 지능, 리더십 같은 소프트 스킬이 AI 시대의 핵심 역량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인간이 가진 독창성과 협력 능력을 강조하며, 학생들이 미래 사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제 이러한 변화는 선택이 아닌, 미래에 성공하기 위한 필수 요소다. 학부모들은 이러한 트렌드를 이해하고 자녀들이 미래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새라 박 글로벌 리더십 아카데미 원장> Globalnextgenerations@gmail.com
이전 칼럼 [새라 박 교육칼럼] SAT 재도입 대학들, 얼리지원자 급감; 명문대 트렌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