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현지 시간) 오후 12시50분께 미얀마 내륙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고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가 밝혔다.
진앙은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53㎞, 제2 도시인 만달레이 서쪽으로 17㎞ 떨어진 지점이다.
진원 깊이는 10㎞다. 진원은 동경 95.81도·북위 21.87도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도 이날 오후 12시50분께 미얀마 중부 사가잉 북서쪽 16㎞ 지점에서 규모 7.7 강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최초 지진 발생 후 약 12분 뒤 6.4 규모 여진도 발생했다고 USGS는 덧붙였다.
독일지구과학연구센터(GFZ)는 이번 지진의 규모를 7.6로 측정하고 진원의 깊이를 10㎞로 추산했다.
중국 지진태망(CENC)은 지진 규모를 7.9로, 깊이는 30㎞로 발표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미얀마 양곤 주민은 CNN에 “지진 발생 뒤 약 1분 동안 흔들림이 느껴졌고, 그 후 건물 밖으로 뛰쳐나왔다”고 전했다.
다른 사람들도 건물 밖으로 뛰쳐나오는 걸 목격했다며 “매우 갑작스럽고 강렬한 지진이었다”고 덧붙였다.
강진이 발생하면서 인접국 태국에서도 건물이 붕괴하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AP 등에 따르면 태국 방콕 경찰은 건설 중이던 고층 건물이 강진으로 붕괴했다고 발표했다.
태국 현지 언론은 무너진 건물에 최소 43명이 매몰됐다고 전했다.
사고 지점은 방콕 인기 시장인 짜뚜짝 시장 인근이다. 붕괴 당시 현장에 있던 인원 규모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아직 없다고 경찰은 전했다.

소셜미디어(SNS)에는 크레인이 설치된 다층 건물이 무너져 먼지구름으로 변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올라왔다. 주변에 있던 사람들은 비명을 지르며 대피했다.
미국 지질조사국과 독일 GFZ 지구과학센터는 미얀마 중부에 위치한 제2 도시 만달레이 인근 사가잉으로부터 북서쪽으로 16㎞ 떨어진 지점에서 규모 7.7 강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깊이는 10㎞로 보고됐다.
이어 12분 뒤 사가잉에서 남쪽으로 18㎞ 떨어진 지점에서 규모 6.4 지진이 발생했다.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선 지진으로 종교 성지 일부가 무너져 내리는 등 손상됐다. 일부 주택도 피해를 입었다.
CNN에 따르면 SNS엔 미얀마 아바와 사가잉을 잇는 다리가 무너진 모습이 담긴 영상이 올라왔다.
미얀마에서 발생한 추가 피해 상황은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미얀마는 2021년 쿠데타 이후 내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