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민 당국이 현대차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을 대상으로 역대 최대 규모 단속을 벌이자 조지아 한인사회는 충격에 빠졌다. 일부 교민들은 배신감마저 든다고 토로하고 있다.
7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조지아 서배너 교외 지역인 풀러의 한인 사회가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대규모 체포·구금 사태로 충격에 빠졌다고 조명했다.
풀러는 서배너 교외의 작은 마을이다. 현대차그룹이 인근 엘라벨에 ‘메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건설하면서, 한국인 근로자들로 새로운 한인 커뮤니티가 조성됐다.
인구조사 추정치에 따르면 풀러의 인구는 2020년에서 2024년 사이 22% 급증했다. 증가분 절반은 한국인 이주자로 추정된다.
한국 식당도 1곳에서 6곳가량으로 급증했다. 새로 개장한 창고형 할인 매장 코스트코에는 김치, 말린 다시마, 만두 등 한국 식재료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팻 윌슨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장관이 최근 애틀랜타 일간지에 기고한 칼럼에 따르면 조지아에는 한국 기업 관련시설 약 100개가 운영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 1만7000명 넘게 고용했으며, 한국과 상품 교역 규모는 175억 달러를 넘었다. 윌슨 장관은 “한국은 단순한 우방이 아닌 조지아의 글로벌 경제 전략 핵심 축”이라고 표현했다.
하지만 지난 4일 ICE가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을 단속해 한국이 300여 명을 구금하자 교민사회는 말 그대로 충격에 빠졌다.
일부는 한국 기업들이 미국에 막대한 투자를 한 상황에서 벌어진 사태인 만큼 배신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풀러 거주 한인들의 대규모 그룹 채팅방에는 “우린 열심히 일하고 사업을 일구며 일자리를 창출해 왔다”며 “그런데 지원은커녕 밀려나는 느낌이다”라는 토로가 올라왔다.
미국 시민권자이자 현지에서 활동 중인 김호성 목사는 WSJ에 “한국인들은 자신의 문화와 뿌리를 자랑스러워하면서도, 미국인들이 자신들을 근면한 노동자로 환영해 준다는 점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번 단속이 그 이미지를 산산조각 냈으며, 많은 이들에게 갑작스러운 두려움과 분노를 안겼다는 것이다.
한 한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도 “매일 열심히 일하고 모든 걸 제때 마무리하는 게 한국 문화와 사고방식”이라며 “미국은 그 혜택을 받았다”고 말했다.
조다혜 서배너 한인회장도 BBC에 “나에게도,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업의 이미지에서도 매우 충격적”이라며, 이번 치포 작전이 한인들을 충격에 빠뜨렸다고 전했다.
이번 사태는 한국 기업이 기대했던 것만큼 현지 인력을 채용하지 않는다는 불만에서 비롯됐다.
배관공, 용접공 등을 대표하는 지역 노조 관리자에 따르면 몇 달 전 현대차 배터리 공장에서 노조원 65명가량이 해고됐다고 한다.
조지아주 연방 하원의원 공화당 예비선거에 출마한 토리 브래넘은 이번 구금 사태 현장에 대해 불법 체류 노동자 관련 국토안보부에 신고하기도 했다. 신고가 급습 작전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불분명하다.
브래넘은 훈련된 노조 소속 미국 노동자들이 더 싼 불법 노동력에 밀려 배제됐다며 “조지아 주민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세금 감면을 제공했지만, 그런 일자리는 결코 생기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다만 구조적, 현실적 한계로 한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게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있다. 공장 건설이나 초기 생산 단계에선 전문적인 기술력과 경험이 요구되는데, 현지 인력으론 이를 충당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번 단속에서 구금된 근로자들도 주요 장비를 설치하고 미국 인력을 교육한 뒤 귀국하는 단기 체류 성격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식 취업 비자(H-18)에는 시간과 절차 측면에서 한계가 있어 단기 비자(B-1) 등으로 입국하는 게 관행이라고 한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미국에 투자하는 외국 기업 인재가 미국에서 합법적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신속한 허가 절차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그 대가로 미국인을 고용하고 육성해달라며, 외국 기업에 이민법도 존중하라고 촉구했다.
K-News L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