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 게임’ 역시 ‘S켄’이라는 일본 놀이에서 유래 주장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게임’이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한 유력 언론이 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게임들은 일본이 원조라는 주장을 폈다.
29일 일본 유력 경제매체인 니혼게이자이신문의 서울지국장 스즈키 쇼타로(鈴木壮太郎)는 ‘오징어게임이 보여주는 일본의 잔영’이라는 제하의 칼럼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오징어게임을 보고 향수를 느낀 사람도 있었을 것”이라며 그것은 드라마 속에 나오는 게임 대부분이 일본에서 유래한 놀이이기 때문이라고 소개했다.
대표적으로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는 일본의 ‘달마상이 넘어졌다’와 가사만 다를 뿐, 규칙과 선율도 똑같으며, 이에 더해 딱지치기, 구슬치기, 달고나 등 드라마에는 일본인의 향수를 자극하는 놀이가 속속 등장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연기향토박물관의 임영수 관장을 인용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임 관장은 “한국 어린이들 놀이는 대부분 일제 식민지시대에 일본에서 들어왔다”고 말했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의 경우, 일제시대 아이들이 일본어로 놀고 있던 것을 본 독립운동가가 한국어로 바꿔서 하자고 제안한 것이 확산됐다고 임 관장은 소개했다.
드라마 제목이 된 ‘오징어 게임’도 땅바닥에 S자를 그려 상대방의 진지를 공격하는 일본 놀이 ‘S켄’이 뿌리라는 설이 있다고 스즈키 지국장은 주장했다.
그는 이어 한국에서는 ‘오징어 게임’을 ‘오징어 카이센’ 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자신이 나고 자란 가나가와(神奈川)현에서는 ‘S켄’을 ‘S카이센’이라고 지칭했다며, 한국에서도 ‘카이센’으로 불린 것은 우연의 일치가 아닐 것이라며 오징어 게임 역시 일본이 원조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스즈키 지국장은 이어 그러나 한국 교과서에는 이같은 놀이가 일본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이 기술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임 관장은 한국 교과서 133권을 조사한 결과, 이들 놀이가 일본에서 유래했다고 기술한 교과서는 전무했으며 모두 한국 전통놀이라고 표기돼 있었다고 말했다.
임 관장은 27개 놀이에 대해 일본의 놀이라는 것을 기술하도록 교육부에 신청해, 교육부는 이미 국정교과서에 대해 수정에 착수했다고 한다.
임 관장은 “일본의 놀이니까 놀지 말라고 말하고 싶은 것은 아니다”며 “다만, 일본의 놀이가 왜 한국에 들어왔는지 그 역사를 알 필요가 있다. 나라를 빼앗기면 문화도 빼앗긴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칼럼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유사성, 그리고 옛날 중국에서 한반도를 거쳐 일본에 도달한 문화가 일본에 정착한 것 등을 언급하면서 동북아의 오랜 역사를 통해 한국과 일본, 중국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런 것까지 생각하게 하는 콘텐츠를 제작한 것이 미국의 플랫폼 기업으로, 전 세계에서 시청되고 있는 현실도 흥미롭다”며 “드라마와 같은 잔학한 놀이 방법은 싫지만, 세계 어딘가의 길거리에서 ‘달마상이 넘어졌다’를 듣게 된다면 그것도 오늘날의 문화 전파일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