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리콘밸리의 AI(인공지능) 연구원들과 경영진들이 끊임없는 기술 경쟁 속에서 주당 80~100시간씩 일하는 초고강도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2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AI를 ‘인류 역사상 결정적인 기술의 전환점’으로 여기는 마이크로소프트·앤트로픽·구글·메타·애플·오픈AI 등 주요 테크 기업의 연구원과 경영진들은 경쟁자와의 속도전 속 AI의 대중화를 위한 혁신을 쏟아내고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현재 상황을 “전쟁에 가깝다”고 표현했다.
앤트로픽의 연구원 조시 배트슨은 “우리는 20년 걸릴 과학적 진보를 2년 안에 압축 실행하고 있다”며 “AI 시스템의 발전이 이제 몇 달 단위로 일어나고 있다. 지금 이건 세계에서 가장 흥미로운 과학적 질문”이라고 말했다.
AI 업계 최전선에 선 이들은 몸값이 수백만 달러에 달하지만, 정작 그 돈을 쓸 시간은 없다고 말한다. WSJ은 “마크 저커버그가 경쟁사 연구원들을 스카우트하면서 AI 인력 시장의 연봉이 급등했다”며 “기업들은 이 소수의 핵심 인재들로부터 하루라도 더 많은 성과를 뽑아내기 위해 몰아붙이고 있다”고 전했다.
구글 딥마인드의 수석 연구원 마드하비 세왁은 “모두가 항상 일하고 있다. 긴장감이 극도로 높고, 멈출 지점이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일부 스타트업들은 채용 계약서에 주 80시간 이상 근무를 명시하기도 하지만, 대다수 연구원들은 경쟁심과 호기심에 이끌려 자발적으로 장시간 노동에 나서고 있다.
메타는 최근 AI 부문 인력 600명을 감원했지만, 차세대 AI 모델 ‘라마’를 개발하는 신설 조직 ‘TBD 랩’은 감원 대상에서 제외됐다. 해당 부서 연구원들은 저커버그의 책상 근처에서 근무하며 회사의 핵심 전략 프로젝트를 직접 보고받고 있다.
WSJ은 “스타트업뿐 아니라 메타 같은 빅테크 기업들까지 초집중형 근무와 속도전을 일상화하고 있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근무 형태는 AI 모델을 개선하거나 신규 기능을 제품에 적용하는 핵심 부서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기업들은 이들을 위해 주말 식사 제공, 24시간 인력 배치, 모델 모니터링 전담 ‘캡틴 제도’ 도입 등 근무 환경을 뒷받침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제품 총괄 아파르나 체나프라가다는 “과거 닷컴 붐이나 스마트폰 혁명보다 AI의 도입 속도는 훨씬 빠르다”며 “불과 몇 년 만에 포춘 500대 기업의 90%가 AI를 도입했다”고 말했다. 그는 AI 연구와 제품화의 간극이 “목요일과 금요일의 차이만큼 짧아졌다”고 비유했다.
배트슨은 “AI 모델의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 예측이나 계획이 거의 불가능하다”며 “훈련이 끝나기 전에는 어떤 결과가 나올지, 테스트 후에도 실제 배포 전까지는 어떤 행동을 보일지 알 수 없다”고 설명했다.
세왁은 “이제 드디어 ‘너드(nerd)의 시대’가 왔다”며 “하지만 정작 아무도 삶의 방식을 바꾸지 못했다. 휴가도, 친구도, 취미도 없다. 모두 일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