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주민발의안 50(Prop. 50)을 지지하는 후원자들에게 “이제 더 이상 기부하지 않아도 된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뉴섬 주지사는 X(옛 트위터)에 게시한 영상에서 “캠페인 목표액을 달성했다”며 “전국 50개 주에서 120만 명의 후원자로부터 총 3,800만 달러를 모금했다”고 밝혔다.
그는 영상에서 “이 캠페인을 승리로 이끌 만큼의 자금은 충분히 확보됐다”며 “이는 곧 승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세운 목표에는 도달했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대부분의 정치 전략가들은 뉴섬의 이번 발표가 다소 이례적이지만, 지지자들과의 신뢰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과거 여러 대선 캠페인에 참여했던 공화당 전략가 맷 고먼은 “뉴섬이 소액 후원을 중단하기로 한 결정은 일종의 자만심을 드러낸 행보”라고 비판했다.
뉴섬 주지사는 지난 8월, 오는 11월 4일 특별선거를 실시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이 선거에서는 주 의회가 한시적으로 캘리포니아의 연방 의회 선거구 획정 권한을 맡을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 조치는 민주당에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주민발의안 50은 2026년, 2028년, 2030년 선거에서 기존의 독립적 선거구 조정위원회를 무력화하고 주 의회가 직접 선거구를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위원회는 2008년과 2010년 주민투표를 통해 설립되었으며, 10년마다 인구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벗어난 선거구 조정을 목표로 운영되어 왔다.
이번 발의안이 통과될 경우 위원회는 법적으로는 유지되지만 최소한 일정 기간 동안 권한을 상실하게 된다.
지지자들은 이 조치가 공화당 주도의 주들에서 벌어지는 당파적 게리맨더링(선거구 조작)에 대응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주장한다. 반면 반대 측은 이 발의안이 오히려 정치인들에게 권한을 되돌려주는 ‘역 게리맨더링’이라며, 유권자들이 과거에 정치적 개입을 배제하기 위해 위원회를 만들었던 취지를 훼손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주민발의안 50에 ‘찬성’ 표를 던질 경우, 주 의회가 다음 선거 주기를 위한 새로운 선거구 지도를 직접 그릴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반대’ 표를 던지면, 현재 시민 선거구 조정위원회가 작성한 기존 선거구 지도가 2030년 인구조사 이후 새 선거구가 확정될 때까지 유지된다.
<박성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