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1년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해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자 미국은 12만 명의 일본계 미국인들을 국가안보에 위험하다는 이유로 체포하여 강제수용했다. 당시 부모와 함께 수용되었던 그들의 2, 3세 자녀들은 시민권자였으나 너무 어려서 아무런 힘을 쓸 수도 없었다.
후에 수용소에서 풀려난 2세들은 왜 자신들이 아무런 혐의도 없이 일본계라는 이유만으로 수용되었는가에 의문을 품었다. 그리고 미 정부를 상대로 끈질긴 법정투쟁을 벌인 지 40여년 만에 승소했다. 일명 ‘고레마츠 케이스’다.
이에 따라 1988년 레이건 대통령은 당시 수용소에 억류됐던 일본인들에 대한 16억 달러 배상법안에 서명하고 1인당 2만 달러의 보상금을 지급했다.
알래스카 에스키모인들과 여러 주의 인디언들도 마찬가지로 미 정부로부터 토지반환이나 배상을 받아냈다. 흑인 단체들은 ‘미국 내 일본인, 인디언들에 대해서는 배상을 하면서 왜 과거 흑인 노예착취에 대한 배상은 없는가?’라며 정부와 기업들의 배상을 요구하는 투쟁을 수십년간 계속하고 있다.
하지만 1619년 아프리카 노예 20여 명이 식민지 버지니아(Virginia) 한 해안에 처음 도착하면서 시작된 흑백 문제는 400년이 흐른 오늘에 와서 다양한 배경의 이민자들 문제와 함께 두 인종 간의 수직적 갈등에서 수평적 소수 인종 문제로 확대되어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변화했다.
이런 상황에서 인종문제에 따른 사건이 발생할 때면 미국의 구조적 인종차별에 관한 담론이 형성되는 가운데 종종 거론되는 것 중 하나가 ‘비판적 인종이론(Critical race theory, CRT)’이다.
비판적 인종이론(CRT)는 미국의 인종차별을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이고 제도적인 문제로 보는 학문적 접근으로 1970년대 중반 일부 흑인 법학자들에게서 유래된 학술용어로 처음 언급된 후 1980년대에 들어 하나의 운동으로 등장한 후 발전 변화해 왔다.
이는 미국의 법이나 교육, 사회제도가 여러분야에서 백인과 비(非)백인 간의 불평등을 초래하고 백인이 지배하는 사회구조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고 보는 시각이다. 해서 인종문제에 관한 역사를 백인의 시각이 아닌 소수자의 시각으로 검증하고 재해석하려는 시도인 셈인 거다.
예를 들어 콜럼버스는 미국 대륙을 발견한 것이 아니라 이미 아메리칸 원주민(인디언)들이 살고 있었던 곳에 도착한 것일 뿐이었으며 게다가 원주민을 노예로 삼고 잔혹 행위를 일삼은 역사적 사실과 함께 유럽의 아메리카 대륙 식민 지배에 대한 비판이 커지면서 캘리포니아 등 여러 지역이 ‘콜럼버스 데이’를 ‘원주민의 날’로 바꾸기에 이르렀다.
이렇듯 교육계에서는 미국 인종 문제의 오해와 진실을 학생들에게 가르쳐 비판적 사고 방식을 키우게 하려고 한다.
이에 따라 비판적 인종이론(CRT)는 이미 대부분의 대학에서 가르치고 있지만 중고교에서는 가르치지 않고 있다. 이는 비판적 인종이론(CRT)라는 용어에 대한 해석이나 용법이 보수와 진보가 판이하게 다른 데서 기인한다.
대부분의 보수 백인들과 공화당은 비판적 인종이론(CRT)가 미국 역사를 ‘백인 우월주의’로만 묘사해 과거의 잘못을 모두 백인에게 떠넘기고 반(反)백인 정서를 부추기려는 부정적인 역사관이므로 이를 중고교에서 가르치면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반해 민주당과 진보측에선 비판적 인종이론(CRT)를 인종차별의 개선을 위한 모든 노력에 대한 포괄적 시선으로 본다.
따라서 이들은 미국 내 빈부격차, 인종 간 불평등, 인종차별은 백인 위주의 사회정책 및 법률체계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학교에서 이에 대한 개념을 가르쳐야 한다고 맞서고 있는 등 아직 사회 여러 분야에서마저 찬반 논란이 일고 있어서다.
결국 인종차별의 제도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인종 간의 다양성을 보장하려는 정책이나 교육 등에서의 많은 시도가 각자 다른 입장에 따른 비판적 인종이론(CRT)의 확대 해석과 주장, 심지어 왜곡되고 변질됨에 따라 답보 상태에 처해있는 거다.
특히 학문적 성격이 강했던 CRT를 정치 공방의 장(場)으로 올린 것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다. ‘분열적이고 반미국적인 교육을 해선 안 된다’며 연방 기구의 인종차별 금지 훈련 프로그램에서 CRT 등이 들어간 내용을 빼도록 지시하면서다.
헌데 캘리포니아 교육국은 지난 해 소수인종학 커리큘럼을 승인하고 고등학교 졸업 필수과목으로 지정했다. 이는 소수인종학에 속한 비판적 인종이론(CRT) 또한 포함된 셈이다.
1992년 4월 29일. 경찰의 로드니 킹 구타 사건으로 촉발된 LA폭동은 아무런 관련이 없는 한인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LA 인구 400만 중 불과 5%도 안 되는 한인들의 피해가 전체 피해액의 40-50%나 되었다. 무너져 내린 삶의 터전에서 분노와 실의에 주저앉은 부모들의 아픔을 목격해야만했던 당시 어린 자녀들은 영문도 모른 채 무력하기만 했고 폭동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4·29폭동 30주년을 맞았다.
이제 그 2세들은 자라나 사회 곳곳에 자리 잡아 각자 자기 몫을 해내고 있고 한인 사회는 우리의 정체성 재인식과 함께 차별을 넘어선 연대의 가치를 깨닫는 가운데 괄목한 만큼 눈부신 성장을 했다.
이제 우리에게도 고레마츠의 승리, 그리고 비판적 인종이론의 바른 이해로 차세대 교육에 활용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