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소련(소비에트)의 마지막 지도자였던 미하일 고르바초프(Mikhail Gorbachev) 전 대통령이 오랜 투병 끝에 30일(현지시간) 별세했다고 타스와 스푸트니크 등 러시아 언론이 보도했다. 그가 입원해있던 러시아 중앙 병원 측은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이 오랜 투병 끝에 현지시간 30일 저녁 사망했다”고 밝혔다. 올해 91세인 그는 1985년 제8대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 취임해 1990년 3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첫 소련 대통령을 지냈다.
그는 집권 후 개혁 이데올로기 ‘페레스트로이카(perestroika)’와 개방 이데올로기인 ‘글라스노스트(Glasnost)’를 추진했다. 정치체제의 민주화, 공산당·소비에트 기능 분리 등의 정책을 실행하며 전쟁·사회주의를 무너뜨려 러시아의 정치 판을 완전히 뒤바꿔 놓았다.
대외적으로는 긴장 완화와 군축정책(긴장 완화와 타국과의 상호 생존을 위해 군비를 축소하는 정책)을 실시해 동구권 민주화를 이뤄냈다. 또한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와 동서독 통일을 사실상 용인하며 냉전구도의 종식을 이끌어낸 냉전 해체의 주역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해외에서는 그의 공을 높이 사지만 국내에서는 성급한 급진적 개혁으로 소련 해체를 초래한 장본인이라는 혹평이 많아 그다지 인기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냉전 말기에 찾아온 경기 침체와 체르노빌 참사 시기에 시장경제를 도입했는데, 인플레이션(Inflation) 발생으로 인해 국내 경제 성과는 미진한 것으로 평가됐다. 1991년에는 보수파의 쿠데타로 인해 권력을 내려놓았고 12월 해체된 소련은 그렇게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CNN은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이 출연했던 미국 ‘토크쇼 제왕’ 래리 킹 토크쇼 영상을 방송에서 전하며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은 외향적이고 카리스마 있는 성격으로 차가운 인물들이었던 기존 소련 지도자들의 틀을 깼다”고 평가했다. 워싱턴 포스트(Washington post)도 “소련의 붕괴가 고르바초프의 목표는 아니었지만, 아마 그의 가장 큰 유산일 것”이라며 그를 추모했다.
그는 한국과도 인연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는 1991년 4월 소련 지도자로서 처음 한국을 방문했고 노태우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긴장완화, 88 서울올림픽 등 다양한 의제를 다뤘다. 2001년에는 ’11월 한·소 수교 10주년’을 계기로 한국에 방문해 청와대에서 고(故) 김대중 대통령과 오찬을 가졌고 2009년에는 김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에 서한을 보내 조의를 표하기도 했다. 그는 고(故) 노무현 대통령과도 만나 2006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노벨 평화상 수상자 광주정상회의 행사에 참석해 자리를 함께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