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 무역 전쟁을 완화하기 위해 관세를 50~65% 수준으로 대폭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한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중국 관세가 대략 50~65%로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일부 관계자들은 지난해 말 하원 중국위원회가 제안한 것과 유사한 단계적 접근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방안은 중국에 대한 관세를 품목별로 차등 부과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 품목은 35%, 전략적으로 중요한 품목엔 최소 100%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관세를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내용도 담겼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논의는 여전히 유동적이며 여러 옵션을 검토 중이라고 소식통들은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관세율을 낮추진 않을 것이라며, 중국의 반응과 조치를 본 뒤 인하할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이날 취재진에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관세를 일방적으로 철회할 의향이 없다고 밝혔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과 협상을 해야 한다고 명확히 밝혔다”며 “관세 결정은 대통령에게서 직접 나올 것이며, 그 외는 추측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인하할 의향이 있다며, 중국에 부과한 145% 관세를 낮출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전면 철회는 아닐 것이라고 제한했다.
이날도 집무실에서 취재진을 만나 “2~3주 내 대중국 관세를 결정하겠다”며 “스페셜 딜이 가능하다”고 거듭 제안했다.
중국은 협상에 열려있다면서도, 저자세로 임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정례브리핑에서 “싸운다면 끝까지 상대하고, 대화한다면 문은 활짝 열려있다”며 “미국이 진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위협과 협박을 중단하라”고 밝혔다.
한편 란푸안 중국 재정부장 판공성 중국인민은행 총재는 이번주 워싱턴에서 열리는 국제통화기금 및 세계은행 회의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이다.
아직 미국 행정부와 회담 일정은 잡지 않았다고 한다. 24일 출국 예정이지만, 회담이 성사되면 일정이 변경될 수 있다고 소식통들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