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올해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0년 만에 최고치인 7.5% 수준을 나타내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다. 경제 성장을 저해하지 않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해야 하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 연준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공격적 성향으로 선회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첫 해 동안 금융 및 경제 붕괴를 막기 위한 혁신적인 정책을 펼치며 통화 비둘기파라는 평을 받았다.
그러다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이어지면서 이를 억제하기 위해 경기부양책 종료, 금리 인상 등 매파적 성향으로 정책 방향을 선회하고 있다.
WSJ는 이러한 정책 방향 선회는 연준이 스스로 만들었다고 했다.
파월 의장이 장기간 높은 실업률과 낮은 인플레이션에 대처하기 위해 전임자들이 펼친 정책을 두 배로 줄이면서 대유행에 대응했는데, 이로 인해 노동시장 여건이 급속히 개선되고 높은 인플레이션이 위협으로 떠올랐다는 설명이다.
1980년대 초 폴 볼커 전 연준 의장 이후 어떤 의장도 이처럼 높은 인플레이션 문제에 맞닥뜨리지 않았다.역사적으로 연준은 경기침체 없이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한 적이 없었다. 이에 파월 의장도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면서 새로운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준은 금리 인상과 경기 부양 일환으로 매입해 늘린 자산을 처분하는 대차대조표 축소라는 두 가지 방안을 인플레이션 억제책으로 쓸 전망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를 앞세운다.
당초 연준은 2024년까지 금리 인상을 예상하지 않았다가 지난해 하반기 처음으로 오는 3월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2018년 이후 처음이다. 또 인플레이션 수준이 더욱 심각해지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 등이 겹치면서 상황 악화 전망이 나오자 금리 인상폭에 대한 전망도 종전 0.25%에서 0.5%로 올라갔다.
도널드 콘 전 연준 부의장은 과거 상황을 빗대었다.
1987년부터 연준을 이끌었던 앨런 그린스펀 의장은 1994년 저금리가 장기간 지속된 이후 1년 만에 금리를 3.0% 인상했다.
당시 예기치 않게 빠른 긴축 정책에 채권 가격이 더 크게 떨어졌고 이 결과 캘리포니아 오렌지 카운티는 파산했다. 멕시코는 페소 가치가 떨어져 경제가 황폐화됐다. 연준은 이후 경기가 침체 국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져 이듬해 다시 금리를 소폭 낮췄다.
윌리엄 더들리 전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지난해 11월 인터뷰에서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면 금리를 3~4%까지 올려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시장에 피해를 줄 수 있다”고 했다.
에릭 로젠그렌 전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지난 6개월 동안 지속적인 공급망 문제와 물가 상승에 대응해 근로자 임금이 인상되면서 경제 연착륙 전망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리를 빠르게 인상하면 경기 침체의 위험이 높아진다”며 “금리를 빠르게 인상하고 있다면 이미 한 금리 인상이 어떻게 경제를 둔화시켰는지 확인할 시간이 없다”고 지적했다.
2020년 3월 이후 경기 부양책을 통해 연준이 매입, 보유한 자산 규모는 이전보다 2배 이상 늘어난 9조 달러에 이른다.
이를 유지하거나 재투자하지 않고 처분해 줄이는 것을 대차대조표 축소라고 하는데, 일각에서는이 자산을 매각해 장기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대차대조표 축소를 인플레이션 억제책의 하나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 대책에 대해서는 냉담한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 대차대조표 축소가 오히려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는 주장이다.
뉴욕 연은 출신으로 현재 헤지펀드 매니저를 맡고 있는 브라이언 삭은 “불에 연료를 쏟을 위험이 있다. 대차대조표 축소 효과는 아직 불확실하기 때문에 너무 무리하게 밀어붙이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관계자들은 공급 문제가 완화되고 수요가 지난해 가격이 크게 올랐던 상품에서 인플레이션이 덜한 부문으로 이동하면서 인플레이션이 감소하기를 바라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 시장을 휘젓고 있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우려나 아시아에서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통제로 선적 지연 등 연준 권한 밖 요인들로 인플레이션이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상대로 올해 상품 가격이 다소 내리더라도 임금과 임대료의 인상으로 인해 2023년까지 인플레이션이 계속 상승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16일 공개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1월 의사록 공개와 다음달 15~16일 예정된 FOMC 회의에 관심이 모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