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산 위기에 몰린 나성영락복지상조회(이하 상조회)가 1안(완전 파산)과 2안(구조조정) 중 하나를 택하는 회원 투표를 진행했지만, 참여율이 과반에 미치지 못해 무산됐다. 그러나 상조회 측은 결과 발표 공지문을 통해 회원들에게 “제2안으로 힘을 모아 달라”는 메시지를 강조하며, 은근히 특정 안건을 지지하도록 유도하고 있어 비판이 일고 있다.
상조회가 8월 30일자로 발송한 안내문에 따르면, 이번 투표는 1안 99표, 2안 122표로 집계됐지만 전체 회원 수가 800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만큼 과반(400명 이상)에 크게 못 미쳐 성립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조회는 “2안을 통해 회원들의 최소한의 이익을 지킬 수 있다”, “법원과 무관하게 우리 손으로 처리할 수 있다”며 2안 선택을 기정사실화하는 듯한 문구를 반복했다.
회원들 사이에서는 상조회가 마치 ‘회원 민주적 절차’를 거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미 2안 추진을 전제로 여론을 몰아가고 있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
한 회원은 “투표가 무산됐는데도 2안으로 몰고 가려는 건 회원들의 뜻을 왜곡하는 것”이라며 “책임을 피하려는 얄팍한 수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문제는 상조회가 반복적으로 회비 납부를 독촉하면서 동시에 2안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공지문에는 “400명 이상이 동참하면 조의금 지급액을 유지하거나 상조회비를 조정할 수 있다”는 문구가 담겼는데, 이는 오히려 회원들에게 ‘2안 외에는 답이 없다’는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
법률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두고 “투표 참여율 미달로 안건이 무산됐다면 원점에서 회원 의견을 다시 수렴하는 것이 정석”이라며 “상조회가 특정 안을 유도하는 식으로 회비를 더 걷으려 한다면, 향후 법적 분쟁에서 신뢰성 문제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회원 불신이 이미 고조된 상황에서, 이번 ‘2안 압박 공지’는 상조회와 교회에 대한 신뢰를 더욱 무너뜨리는 결과를 낳고 있다. 파산 위기 자체보다도, 절차적 정당성 부족과 책임 회피 논란이 사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상조회가 나성영락교회라는 이름 아래 운영돼온 만큼, 교회가 더 이상 책임을 회피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회원들 사이에서는 “수십 년간 납부한 원금 가운데 최소한 절반 이상은 교회가 나서서 보전해줘야 한다”는 요구가 확산되고 있으며, 교회가 직접 사태 수습에 나서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김상목 기자>
관련기사 [단독]“영락교회 믿고 가입했는데, 이제 와서 나 몰라라 교회개입 정황 회칙 확인, 책임론 부상
관련기사 [단독] 나성영락교회 설립 상조회 파산위기, 수백만 달러 피해 우려 교회 사태수습 나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