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때 인파로 붐비던 페어팩스 애비뉴와 멜로즈·비벌리 일대가 지금은 공실로 가득한 것처럼, 한인타운에서도 같은 현상이 똑같이 벌어지고 있다.
LA 시 재무국(Office of Finance)에 따르면, 2025년 7~9월 사이 시 전역에서 새로 문을 연 사업체는 5,846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20년 만에 가장 낮은 3분기 수치로, 팬데믹 시기와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도 더 낮은 수준이다.
이 수치는 단기적인 침체가 아니라 장기 추세의 가속으로 분석된다.
지역 데이터 전문 매체 ‘크로스타운(Crosstown)’은 이미 지난 6월 “LA의 사업체 감소세가 10년 이상 지속돼 왔으며, 올해는 그 하락 폭이 가장 크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한인타운 신규 사업체, 2019년 절반 수준으로 추락
특히 한인타운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올해 들어 9월 말까지 LA 시에 등록된 한인타운 내 신규 사업체는 567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744곳보다 23.8% 줄었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에는 1,139곳이 새로 문을 열었지만, 6년 만에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팬데믹 이후 임대료와 세금 부담이 회복되지 못한 상태에서, 재택근무 확산과 소비 패턴 변화가 더해지며 ‘자영업 공백지대’가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한인 업계 관계자는 “한인타운 내 중소 음식점, 카페, 미용업체가 문을 닫는 반면, 프랜차이즈나 부동산 기반 사업만 남는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연도별 추이는 다음과 같다.


LA 사업환경 “글렌데일보다 비싸고 복잡”
LA시는 여전히 ‘총매출세(Gross Receipts Tax)’를 부과하고 있어, 같은 규모의 사업이라도 글렌데일이나 버뱅크보다 세 부담이 크다.
여기에 높은 상가 임대료, 주차난, 인건비 상승이 겹치며 창업 진입장벽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는 팬데믹의 여파뿐 아니라, 시가 부과하는 ‘총매출세(Gross Receipts Tax)’와 높은 임대료, 재택근무 확산에 따른 유동인구 감소 등 복합 요인이 맞물린 결과다.
글렌데일이나 버뱅크 같은 인근 도시와 비교했을 때도 LA 내 사업 환경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지역 상권이 무너지면 세수와 고용이 줄고, 결국 지역 공동체의 기반이 약해진다”며 “지역 경제를 지탱하는 것은 결국 소상공인과 로컬 비즈니스”라고 강조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한인타운이 유지돼야 LA의 다양성과 활력이 살아난다”며 “지역 상점을 이용하는 일은 공동체를 지탱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김상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