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 전 대통령 별세…향년 89세
3金 누르고 직선 대통령…12·12, 5·18로 수감
김영삼 특사로 석방 후 추징금 미납 논란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을 지낸 노태우 전 대통령이 26일 오후 89세로 별세했다..
노 전 대통령은 이날 오후 건강이 악화돼 서울대병원 응급실로 이송돼 집중치료를 받았으나 끝내 회복하지 못하고 운명했다.
지병으로 오랜 병상생활을 해 온 노 전대통령은 그동안 서울대병원에서 입원과 퇴원을 반복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노 전 대통령은 1932년 12월 4일 경북 달성군 공산면 신용리(현 대구 신용동)에서 면 서기였던 아버지 노병수씨와 어머니 김태향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공산초등학교와 대구공업중학교, 경북고등학교,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고 보안사령관, 체육부·내무부 장관, 12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대표 등을 지냈다.
노 전 대통령은 육군 9사단장이던 1980년 12·12 사태 당시 쿠데타에 참여해 육사 11기 동기인 전두환 전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의 정권 장악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노 전 대통령은 이를 계기로 신군부의 제2인자로 떠올랐다. 수도경비사령관, 보안사령관 등으로 초고속 승진을 거듭한 노 전 대통령은 대장으로 예편해 정무2장관, 초대 체육 장관, 서울올림픽조직위원장, 민정당 대표를 거쳐 정치인으로 변신했다.
노 전 대통령은 1987년 대선에서 민정당 대선후보로 나서‘3김(김영삼 전 통일민주당, 김대중 평화민주당 , 김종필 신민주공화당 대선 후보)’의 분열로 직선 대통령으로 선출됐다. 노 전 대통령 집권 기간에 민주주의 정착과 외교적 지위 향상,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고 자평했다.
1987년 6월 민정당 대선후보 선출 이후 간선제 호헌 조치에 반발하는 시위가 확산하자 직선제 개헌을 약속하는 6·29 선언을 전격 발표해 ‘87년 민주화체제’를 탄생시켰다. 김대중 사면복권, 시국사범 석방 등을 담은 6·29 선언은 민주화 항쟁에 따른 항복 성격이 강하긴 했지만 민주주의를 수용한 온건 군부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기여했다.
북방 외교와 남북관계 개선을 기치로 내건 노 전 대통령은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옛 소련·중국과의 공식 수교 등 성과를 내며 외교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내치에서는 13대 총선에서 헌정사상 최초의 여소야대 국회가 탄생해 취임 초부터 시련을 겪었다.
노 전 대통령은 1990년 민정당과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의 3당 합당을 통해 정국을 ‘여대야소’로 재편했다. 그러나 거여 민주자유당의 계파 갈등으로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지 못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민정당 대선후보로 선출되자 노 전 대통령은 탈당 후 사상 첫 중립 내각을 출범시키기도 했다.
노 전 대통령은 5공 청산 차원에서 육사동기이자 쿠데타의 동지였던 전 전 대통령을 백담사로 귀향을 보냈다. 퇴임 후 노 전 대통령은 12·12 사태 주도, 5·18 민주화운동 무력 진압, 수천억 원 규모의 비자금 조성 등의 혐의로 전 전 대통령과 함께 수감됐다. 법원에서 징역 17년형과 추징금 2600억원을 선고받았다. 1997년 12월 당시 김영삼 대통령의 특별사면 조치로 석방됐지만 최근까지도 추징금 미납 논란에 시달리다가 뒤늦게 완납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옥숙 여사와 딸 소영, 아들 재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