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6·3 대선의 최대 변수로 꼽히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이달 29일 전후로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23일 제기됐다.
서울신문에 따르면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이날 “한 대행이 29일을 전후해 출마를 선언할 수 있다”며 “공직자가 대선에 출마하려면 법적으로 5월 4일까지 사퇴해야 하는데, 한 대행은 이를 기다리지 않고 더 앞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날은 공교롭게도 국민의힘 2차 경선 결과 발표일이자, 공직자 사퇴 시한 전 마지막 국무회의가 예정된 날이다. 정치권 일각에선 한 대행이 해당 회의에서 국무위원들의 의견을 들은 뒤 출마를 공식화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특히 한미 간 쟁점이 돼온 관세 협상이 29일을 기점으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한 대행이 ‘마지막 소명’으로 언급해온 이 과제를 정리한 뒤 정치적 행보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그는 최근 미국을 방문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부터 ‘한미 2+2 통상 협의’ 결과를 보고받을 예정이며, 이를 계기로 거취를 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24일 국회에서 예정된 한 대행의 추가경정예산안 시정연설도 주목된다. 이 자리에서 출마 여부에 대한 질문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 대행의 대권 도전을 공개적으로 지지해온 한 국민의힘 의원은 “출마 시점을 묻는 질문은 사실상 의미가 없다”며 “행보를 보면 이미 답은 나와 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변수도 존재한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대변인은 “졸속적인 대미 협상이 우려된다”며 “국가적 위기를 자신의 정치적 기회로 삼으려는 발상은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에 대해 총리실 관계자는 “정해진 것은 없다”고 일축했다.
<박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