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중국 최고 명문대학 중 하나인 칭화대에서 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 석사 과정을 수행한 정황은 뚜렷하지 않아 ‘허위 학위’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석사 과정을 밟아야 했던 시점에 그는 국내에서 활발한 정치 활동 중이었고, 선거 유세와 재판까지 병행하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뉴데일리가 입수한 인사청문요청안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2010년 7월 15일 칭화대 법학 석사(LL.M.) 학위를 받았다. 김 후보자가 밝힌 재학 기간은 2009년 9월부터 2010년 7월까지로 11개월간이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그는 민주당 최고위원직을 맡고 있었고, 2010년 3월에는 부산시장 선거에 출마해 전국을 돌며 지원 유세를 펼쳤다.
김 후보자는 2010년 지방선거 당시 민주당 중앙선대위 공동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아 부산에서 주거지를 옮기고 본격 유세에 나섰다. 특히 5월 26일에는 대전 유성구에서 직접 지원 유세를 벌이는 모습도 포착됐다.
더 큰 의문은 칭화대의 학위 요건이다. 칭화대 법학 석사 과정은 본교 수학이 필수다. 2011년 칭화대 한국캠퍼스의 공식 입학 안내 게시판에도 “법학 석사 학위는 본교 수학을 전제로 한다”고 명시돼 있다. 해당 기간 동안 김 후보자가 실제 베이징 칭화대에서 학점을 이수하고 학위 논문을 작성했는지에 대한 자료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김 후보자는 학위 취득 직전까지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었다. 선거와 수사, 당직 수행까지 겹쳐진 일정 속에서 ‘중국 유학’이 가능했는지를 두고 야권은 “분신술이라도 썼냐”는 비판까지 내놨다.
실제 김 후보자는 학위 수여 약 한 달 뒤인 2010년 8월, 지인 3명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 7억2000만 원을 받은 혐의로 벌금 600만 원과 추징금 7억2000만 원을 선고받았다. 당시 민주당 최고위원이자 지방선거의 핵심 유세 인물로 바쁜 행보를 이어가던 그가, 동시에 중국 칭화대 본교에서 석사 과정을 밟았다는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국민의힘 이준우 대변인은 “김 후보자가 본인이 아닌 대리인을 보내 학위를 받았다는 말이냐”며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기소된 인물이 법학 석사 학위를 받는 장면 자체가 국민에겐 모욕”이라고 비판했다.
김 후보자 인사청문회 준비단은 해당 의혹에 대해 “확인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며 즉답을 피했다. 정작 김 후보자는 조국 전 법무부장관처럼 ‘허위 학위·인턴’ 논란에 휘말릴 위기에 놓이게 됐다.
K-News LA 편집부
관련기사 조국 판박이 김민석 아들 허위인턴 의혹 불거져 ‘고3때 홍콩대 6개월 인턴’
관련기사 불법 정치자금·아들 의혹 김민석, 스스로 사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