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사랑을 느낄 때 뇌의 활성화 정도를 관찰한 결과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가장 강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6일(현지 시각) 핀란드 알토대 연구진이 국제학술지 ‘대뇌 피질(Cerebral Corte)’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진은 사랑하는 대상이 있다고 밝힌 실험 참가자 55명(모두 자녀 있음)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연구진은 피실험자에게 총 여섯 가지 사랑 유형(연인·친구·낯선 사람·반려동물·자연)에 관한 사랑을 다룬 짧은 이야기를 전문 배우의 연기를 통해 들려줬다.
피실험자들이 아이가 처음 태어났을 때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시나리오 등을 듣고 생각하는 동안 연구진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이들의 뇌 활동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 자녀에 대한 사랑이 가장 강렬한 뇌 활동을 일으키며 로맨틱한 사랑이 그 뒤를 잇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공동 저자인 파르티리 린네(Pärttyli Rinne) 교수는 “부모님의 사랑에서는 사랑을 상상하는 동안 선조체(corpus striatum) 영역의 뇌 보상 시스템 깊은 곳에서 활성화가 일어났다”며 이러한 강렬한 뇌 활동은 다른 유형의 사랑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뇌 활동의 강도는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뇌의 같은 영역을 활성화 했다. 린네 교수에 따르면 사랑이 활성화되는 패턴은 사회적 상황에서 기저핵, 이”마의 중앙선, 뒤통수 측면의 전두엽 및 측두정 접합부에서 생성된다.
여섯 가지 유형 중 사람 간 이뤄지는 사랑 유형은 관계의 친밀도와 관계없이 뇌의 동일한 부위가 활성화됐고, 활성화 강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가까운 관계에서의 사랑은 낯선 사람에 대한 자비로운 사랑보다 활동 강도가 더 활발했다.
자연에 대한 사랑은 뇌의 보상 시스템과 시각 영역을 활성화했지만 사회적 뇌 영역은 활성화하진 않았다.
이로써 사랑에 대한 뇌 활동이 대상의 친밀도뿐 아니라 그것이 인간, 다른 종, 혹은 자연인지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경우 동물과 시간을 보내는 장면을 상상할 때 사회적 감정과 관련된 뇌 영역이 자연에서보다 더 활성화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뇌파를 통해서 실험 참가자가 반려동물을 키우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린네 교수는 “반려동물에 대한 사랑과 관련된 뇌 활동을 살펴보면 사회성과 관련된 뇌 영역이 통계적으로 그 사람이 반려동물 소유자인지 여부를 드러낸다”며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경우 이러한 영역이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는 사람보다 더 활성화돼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