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현지 시각) 핀란드 알토대 연구진이 국제학술지 ‘대뇌 피질(Cerebral Corte)’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진은 사랑하는 대상이 있다고 밝힌 실험 참가자 55명(모두 자녀 있음)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연구진은 피실험자에게 총 여섯 가지 사랑 유형(연인·친구·낯선 사람·반려동물·자연)에 관한 사랑을 다룬 짧은 이야기를 전문 배우의 연기를 통해 들려줬다.
피실험자들이 아이가 처음 태어났을 때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시나리오 등을 듣고 생각하는 동안 연구진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이들의 뇌 활동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 자녀에 대한 사랑이 가장 강렬한 뇌 활동을 일으키며 로맨틱한 사랑이 그 뒤를 잇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공동 저자인 파르티리 린네(Pärttyli Rinne) 교수는 “부모님의 사랑에서는 사랑을 상상하는 동안 선조체(corpus striatum) 영역의 뇌 보상 시스템 깊은 곳에서 활성화가 일어났다”며 이러한 강렬한 뇌 활동은 다른 유형의 사랑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뇌 활동의 강도는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뇌의 같은 영역을 활성화 했다. 린네 교수에 따르면 사랑이 활성화되는 패턴은 사회적 상황에서 기저핵, 이”마의 중앙선, 뒤통수 측면의 전두엽 및 측두정 접합부에서 생성된다.
여섯 가지 유형 중 사람 간 이뤄지는 사랑 유형은 관계의 친밀도와 관계없이 뇌의 동일한 부위가 활성화됐고, 활성화 강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가까운 관계에서의 사랑은 낯선 사람에 대한 자비로운 사랑보다 활동 강도가 더 활발했다.
자연에 대한 사랑은 뇌의 보상 시스템과 시각 영역을 활성화했지만 사회적 뇌 영역은 활성화하진 않았다.
이로써 사랑에 대한 뇌 활동이 대상의 친밀도뿐 아니라 그것이 인간, 다른 종, 혹은 자연인지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경우 동물과 시간을 보내는 장면을 상상할 때 사회적 감정과 관련된 뇌 영역이 자연에서보다 더 활성화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뇌파를 통해서 실험 참가자가 반려동물을 키우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린네 교수는 “반려동물에 대한 사랑과 관련된 뇌 활동을 살펴보면 사회성과 관련된 뇌 영역이 통계적으로 그 사람이 반려동물 소유자인지 여부를 드러낸다”며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경우 이러한 영역이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는 사람보다 더 활성화돼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