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9일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3500억불 선불’ 발언에 대해 “우리 입장에서는 3500억 달러를 현금으로 내는 것은 가능한 일이 아니기에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했다.
위 실장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의도에 대한 대통령실 해석을 묻는 질문에 “확신하지 못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위 실장은 “언론은 어떤 코멘트가 나오면 시계열적으로 놓고 서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전제로 분석하는 경향이 있다”라며 “현실에선 꼭 상관관계가 있지 않을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말이 우리가 발신한 이야기를 다 알고 소화해서 나온 것인지, 아니면 그냥 한 것인지 확신할 수 없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3500억불에 대해 보고받은 바 있을 것이고 그것이 ‘up front(선불로)’라고 돼있던데 어떤 사람은 그것이 우리가 말한 것에 대한 반론이라고 하지만, 정확하게 시계열적으로 일직선상에 있는 것인지는 모른다”라고 봤다.
이어 “(우리가 3500억불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한 것에 대한 응답인지, 기존 입장의 반복인지 확신하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한국인 구금 사태로 촉발된 미국 비자제도 개선 문제는 대미 투자와 무관하다는 입장도 밝혔다.
위 실장은 “3500억불은 총액상 우리가 감당할 수 없는 액수이기 때문에 비자문제와 연결돼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고 했다.
한미 관세협상은 오는 30일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다뤄질 전망이다. 위 실장은 “(관세협상이) 의제라고 보기는 어렵다”라면서도 “일본 측 경험으로부터 유용한 조언을 취한 바 있고, 이번에도 그런 차원의 이야기는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지정학적 변화에 어떻게 대처하는 게 적절한지 (한일 정상이) 지혜를 모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위 실장은 다음 달 경주에서 열릴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서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될 가능성과 관련해 ‘북한 측 변화가 있냐’는 질문에는 “냉정히 보면 별 차이를 느끼긴 어렵다”면서도 “사소한 차이는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의미있는 차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조심스럽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