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액시오스는 18일 미국·러시아 당국자들을 인용, 현재 양국 사이에서 28개 항으로 이뤄진 초안이 작성 중이라고 보도했다. 초안 작성은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가 이끌고 있다.
초안은 ▲우크라이나 평화 ▲안보 보장 ▲유럽 안보 ▲향후 미국과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등 4개 부문으로 나뉜다. 최근 휴전을 이끌어낸 트럼프 대통령 가자 평화 구상에서 영감을 받았다.
그간 휴전 협상의 암초였던 영토 문제 등이 초안에 어떻게 반영됐는지는 불분명하다. 위트코프 특사는 러시아 측 키릴 드미트리예프 특사와 종전안에 관해 집중적으로 협상을 벌이고 있다.
러시아 국부펀드를 이끄는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최근 액시오스와의 인터뷰에서 지난달 24~26일 마이애미를 방문해 위트코프 특사를 비롯한 트럼프 대통령 팀과 시간을 보냈다고 밝힌 바 있다.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과거와 달리 현재 논의에 러시아의 입장이 잘 반영되고 있다며 낙관적인 태도를 보였다.
우크라이나 쪽에서는 루스템 우메로프 국가안보보좌관이 주초 마이애미를 방문해 위트코프 특사를 만났다. 위트코프 특사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도 만날 예정이었지만 현재 관련 출장이 미뤄진 상태다.
한 우크라이나 당국자는 “미국 측이 무언가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안다”라고 전했다. 한 백악관 당국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유연성을 보인다면 무분별한 전쟁을 끝낼 기회가 있다고 믿는다”라고 전했다.
미국과 러시아의 협의에 따라 현재 보류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재추진될지도 관심이 쏠린다. 양국은 회담 전 문서 도출을 목표로 삼고 있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미국 고위 당국자들을 인용, 트럼프 대통령이 국방부 대표단을 우크라이나에 파견했다고 보도했다. 댄 드리스콜 육군장관이 대표단을 이끌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날 예정이다.
드리스콜 장관은 이후 러시아 당국자들도 만날 것으로 보인다. WSJ은 당국자들을 인용, “드리스콜 장관의 임무는 트럼프 대통령을 대신해 평화 협상을 재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