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제2차 세계대전 패전일 80주년 추도사에서 “전쟁의 반성과 교훈을 깊게 가슴에 새겨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 총리가 패전일 추도사에서 ‘반성’을 언급한 건 2012년 이후 13년 만이다.
15일 아사히에 따르며 이시바 총리는 이날 도쿄에서 열린 종전기념일 전몰자 추도식 식사에서 “2차 대전 후 80년이 흘렀고, 이제 전쟁을 모르는 세대가 대다수가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시바 총리는 “전쟁의 참화를 결코 반복하지 않겠다. 다시는 진로를 잘못 선택하지 않겠다”며 “전쟁의 반성과 교훈을 지금 다시 한번 깊이 가슴에 새겨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동시에 80년간 일본은 일관되게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해 힘써왔다”며 “세월이 흘러가도 비통한 전쟁의 기억과 전쟁을 하지 않겠다는 결연한 다짐을 세대를 넘어 계승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분쟁이 끊이지 않는 세상에서 분단을 배제하고 관용을 장려하며, 현재를 살아가는 세대와 미래 세대를 위해 더 나은 미래를 개척해 나가겠다”고 마무리했다.
과거 일본 총리들은 1995년 무라야마 담화 발표 이후 종전기념일 전몰자 추도사에서 반성을 언급해 왔다. 아시아 국가 침략과 식민 지배에 사죄하는 취지다.
이 관행은 2012년 아베 신조 당시 총리가 재집권하면서 중단됐다.
나루히토 일왕은 식사에서 예년과 같이 “과거를 돌아 보고 깊은 반성의 자세로”라고 언급하며 “다신 전쟁의 참상이 반복되지 않길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다만 “전쟁 중과 전후 고난을 앞으로도 계속 전승한다”는 문구를 올해 새로 추가했다.
이시바 총리는 추도식에 앞서 치도리가후치 전몰자 묘원을 찾아 헌화했다. 전몰자 묘원엔 2차 세계대전 중 해외에서 전사한 이름 없는 유골이 안치돼 있다.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는 참배하지 않고, 사무실을 통해 공물료만 봉납했다.
<K-News L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