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쉼 없는 랠리를 이어오던 금값이 일주일 만에 9% 넘게 하락하며 ‘거품이 빠지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27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7주간 27% 급등해 지난 20일 온스당 4381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찍은 뒤, 불과 일주일 만에 9% 이상 급락해 이날 장중 한때 온스당 3980달러까지 떨어졌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하락을 “지속 불가능한 랠리에 대한 건전한 조정”으로 평가하며, 향후 몇 주간 더 깊은 하락세가 이어질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세계금협회(WGC) 시장전략가 존 리드는 “현재보다 더 큰 폭의 조정이 오히려 환영받을 일”이라며 “지금의 가격 수준은 업계 누구도 지속 가능하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 글로벌 금 거래은행의 고위 임원은 “금값이 이렇게까지 오른다고 믿은 건 제정신이 아니었다”고 꼬집었다.
올해 금값 급등은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각국의 높은 부채 수준, 달러화 약세에 대한 헤지 수요가 맞물린 결과다. IMF(국제통화기금)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중앙은행들은 외환 보유고 다변화를 위해 금 매입을 늘려왔지만, 최근 가격 급등으로 매입 속도는 다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값은 올해 초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한 뒤 10월 초 4000달러 선을 넘어서며 연초 대비 약 70% 급등했다.
다만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상승세가 ‘투기성 자금’이 과도하게 몰린 결과라고 지적한다. 호주 ABC정련소의 글로벌 기관시장 본부장 니컬러스 프라펠은 “이번 조정은 단기간에 끝나지 않을 것”이라며 “금값이 온스당 3700달러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세를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런던금시장협회(LBMA)의 폴 피셔 전 의장은 “이번 하락은 시장의 거품을 걷어내는 조정”이라며 “투기성 자금이 정리되면 다시 상승 여력이 생길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에서는 금의 장기 상승세에 대한 신뢰가 여전하다. HSBC·뱅크오브아메리카·소시에테제네랄 등 주요 은행들은 내년 금값이 온스당 500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추가 하락 가능성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리드는 “3500달러 수준까지 내려가는 것이 오히려 시장에 건강한 조정이 될 수 있다”며 “그 정도 가격도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LBMA의 루스 크로웰 최고경영자(CEO)는 “금은 여전히 견조한 상승 흐름을 타고 있으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류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이것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새로운 국면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