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면 더 이상 추방이나 신분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믿음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민 정책 전반을 재편하고 단속을 강화하면서, 귀화 이민자들 사이에서는 “이제는 시민권자도 안전하지 않다”는 불안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공항과 국경에서 시민권을 가진 이민자들이 심문을 받거나 억류됐다는 사례가 늘면서 국내선 이동시에도 미국 여권을 소지하는 시민권자들도 크게 늘고 있다. ‘시민권은 절대적 보호막’이라는 인식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AP는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시민권 박탈이 급증했다는 통계는 없지만, 공포 분위기 자체가 귀화 이민자들의 일상에 깊게 스며들고 있다고 전했다.
일부 시민권자들은 해외여행 후 재입국 과정에서 심문을 받았다는 경험을 공유하며, 휴대전화 보안 설정까지 강화하고 있다.
한 미국 시민이 신분 오해로 단속 중 체포돼 억류됐고, 어머니가 출생증명서를 제출했음에도 즉시 풀려나지 않은 사건은 귀화 이민자들에게 큰 충격을 던졌다.
올여름 법무부는 범죄 이력이나 국가안보 위험 요소가 있다고 판단되는 이민자의 시민권을 박탈하는 절차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뉴욕 시장 당선자 조흐란 맘다니의 시민권 박탈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시민권의 절대적 안정성이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는 불안에 불을 지폈다.
뉴멕시코주 신디 나바 주상원의원은 “예전엔 시민권자들이 이런 두려움을 말하는 경우가 없었다”며 “지금은 시민권이라는 지위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고 말했다.
위스콘신대 역사학자 스티븐 칸트로위츠 교수는 “헌법에 ‘시민’이라는 단어가 등장하지만, 초기부터 그 의미는 모호했다”고 설명했다.
1790년 첫 귀화법은 백인만 시민권 대상으로 제한했으며, 20세기 초까지 인종 차별적 배제는 제도적으로 유지됐다.
1923년 대법원은 인도계 이민자의 시민권을 박탈하는 판결을 내렸고, 제2차 세계대전 때는 일본계 미국인들이 시민권을 가졌음에도 강제수용소로 보내졌다.
칸트로위츠 교수는 “미국 역사에서 시민권은 정치적 분위기에 따라 언제든 흔들려 왔다”고 말했다.
<K-News LA 편집부>
관련기사 ICE가 데려간 1살 여아, 다시 아빠 품으로 왜 시민권자 체포했나\
관련기사 “시민권자까지 무차별 추방했다 … ICE, 시민권 이민자 600여명 체포-70명 실제 추방 충격폭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