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용평가회사 피치가 반복되는 부채한도 대치 등을 이유로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하향하면서 미 국채 시장이 주목받을 것이라고 1일(현지시간) 마켓워치가 보도했다.
피치는 이날 미국 정부의 신용등급 AAA를 AA+로 하향했다. 2011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에 이어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내린 두 번째 신용평가사가 됐다. 미 백악관과 재무부는 이에 대해 즉각 비난을 쏟아냈다.
그러나 과거를 돌이켜보면 약 25조 달러(약 3경2413조원) 규모의 미 국채 시장이 랠리를 보일 수도 있다고 마켓워치는 전했다.
투자자문사 트루이스트어드바이저리서비스의 상무이사 칩 휴히는 마켓워치와의 전화통화에서 “(신용등급 하향) 시기가 조금 놀랍다”면서 2011년의 경우 신용등급 강등에도 불구하고 미 국채에 대한 수요가 더욱 창출됐다고 말했다.
당시 신용평가사 S&P는 그해 8월 미 의회에서 부채한도 협상이 타결되고 며칠이 지난 뒤 미국의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하향 조정했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2011년 8월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약 3%였는데, 신용등급 강등 이후인 9월 말에는 약 1.8%로 떨어졌다. 신용등급 강등 이후 국채 수요가 늘어나 수익률이 떨어진 것이다.
휴히는 “2011년과 비슷할 거라고 말할 수 없다”면서 “한편으로 우리는 미국 신용도에 대한 인식을 잠재적으로 바꿀 수 있는 또 다른 등급 조치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신용등급은 강등됐어도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미국 국채가 주목받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는 의미다.
또 피치의 강등 근거들이 시장에 불안감을 조성해 투자자들을 더욱 안전자산으로 내몰 수 있다고 휴히는 덧붙였다.
피치는 미국 신용등급 하향의 이유로 향후 3년간 재정 악화, 높고 증가하는 정부부채 부담, 반복되는 부채한도 문제 등에 직면한 지배구조 붕괴 등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