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으로 인한 미중 갈등으로 애플이 아이폰의 생산기지를 중국에서 인도로 옮길 계획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5일 보도했다.
신문은 내년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의 조립 라인을 모두 인도로 전환할 것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FT는 이러한 움직임은 애플의 공급망 다각화 전략을 기반으로 하지만 투자자들이 예상하는 것보다 더 나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내년 말까지 미국에서 매년 판매되는 약 6000만 대 이상의 아이폰 전량을 인도에서 조달한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목표는 인도 생산량을 두 배 늘리는 것을 의미한다.
애플은 거의 20년 동안 중국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해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 라인을 구축하고 3조 달러 규모의 기술 거대 기업으로 성장했으나 ‘관세 전쟁’의 여파로 갑자기 막을 내릴 수도 있게 됐다.
애플이 폭스콘 등 제3자를 통해 대부분의 아이폰을 생산하는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가장 공격적인 세금 부과 대상이 됐다.
트럼프의 관세 발표로 인해 애플의 시장 가치가 7000억 달러나 사라지자 중국에 부과된 높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인도에서 제조한 아이폰을 미국으로 들여오기 시작했다.
애플은 최근 몇 년 동안 인도에서 타타 일렉트로닉스와 폭스콘과 협력해 생산 능력을 꾸준히 늘려왔지만 대부분의 스마트폰을 중국에서 조립했다.
아이폰 조립은 생산 과정의 마지막 단계로 애플이 중국 공급업체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수백 개의 부품을 하나로 모으는 작업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145%의 관세를 부과했다가 스마트폰은 유예를 선언했으나 중국산은 20%의 ‘펜타닐 관세’는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인도는 9일 발효됐다가 90일간 유예된 상호 관세에서 26%가 책정됐다. 미국과 인도는 양자 무역 협정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인터내셔널 데이터 코퍼레이션에 따르면 지난해 애플의 전세계 아이폰 판매량 2억 3210만 대 중 미국 시장은 약 28%를 차지했다.
퓨처럼 그룹의 최고경영자(CEO) 다니엘 뉴먼은 “중국에서 인도로의 생산 전환 조치는 애플이 성장과 모멘텀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