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테슬라는 미중 갈등 심화와 관세 부담 증가로 공급망 리스크가 커지자, 올해 초 ‘미국 생산 차량에 중국 기반 공급업체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협력사에 통보했다.
일부 핵심 부품은 이미 다른 국가 생산품으로 대체됐으며, 향후 1,2년 내 나머지 부품에서도 모두 중국산을 제외하는 것이 목표로 전해졌다.
테슬라는 팬데믹 당시 중국 봉쇄로 공급망이 흔들린 것이 계기가 되어 미국 판매 모델에서 중국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전략을 지속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중국 협력사들에게 멕시코·동남아 등지에 별도 생산시설을 확보하도록 유도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올해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와 불안정한 대중 통상정책까지 더해져 ‘중국산 부품 배제 전략’을 더욱 가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 변동성이 심해지면서 차량 가격 전략 수립이 복잡해졌고, 중국이 네덜란드 반도체 기업 ‘넥스페리아’ 관련 분쟁 속에 자동차용 칩 일부 수출을 차단하면서 공급 차질이 발생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중국은 칩·배터리를 포함한 주요 자동차 부품의 대규모 생산·수출국으로, 낮은 비용과 약세 통화는 글로벌 부품 가격 인하에 기여해왔다.
그럼에도 테슬라가 미국 시장에서 중국산 비중을 줄이는 이유는 관세·정책 리스크가 기술·가격 메리트보다 더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여전히 대체가 쉽지 않은 품목으로 꼽혀, 테슬라는 중국의 배터리를 대체하기 위해 2026년 1분기 가동을 목표로 미국 네바다주에서 자체 LFP 배터리 생산시설을 구축 중이다.
바이바브 타네자 테슬라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미국 내 LFP 셀 생산을 추진 중이며, 중국이 아닌 공급망 확보에도 노력하고 있다”며 “하지만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테슬라의 이번 조치는 미중 갈등 속에서 세계 공급망이 재편되는 흐름을 보여주는 사례로, 업계에서는 테슬라의 결정이 미국 완성차 업체 전반의 ‘탈중국’ 움직임을 가속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