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USC 켁 의과대학 사미야 칸 박사 연구진은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내분비학회 연례회의(ENDO 2025)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진은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의 2003~2008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60~84세 성인 3833명의 표본을 분석해 사회적 고립과 당뇨병·혈당조절 간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들은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34% 높았고 혈당 조절 실패 가능성도 75%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사회적 고립이 단순한 정서적 문제가 아니라 실제로 신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원인임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밝혔다.
칸 박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이 중대한 건강 위험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의료진이 고령 환자를 돌볼 때 사회적 고립을 중요한 건강 결정 요인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전국 단위 대표성을 지닌 데이터를 활용해 당뇨병 발병률뿐 아니라 혈당 관리 상태까지 분석한 최초의 사례로, 연구진은 해당 결과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국가들의 보건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K-News L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