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캘리포니아주가 연방 하원 선거구 재조정을 위해 추진 중인 주민발의안 50호가 통과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공화당 우세 지역의 ‘게리멘더링(Gerrymandering)’에 대한 대응책으로 추진된 이번 발의안은, 통과 시 민주당이 연방 하원에서 최대 5석을 추가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발표된 두 주요 여론조사 모두 발의안 50호에 대한 강력한 지지세를 보여주고 있다. 에머슨칼리지(Emerson College) 조사는 찬성 57%, 반대 37%로 찬성이 크게 앞섰고, CBS/유거브(CBS/YouGov) 조사에서는 찬성 62%, 반대 38%로 찬성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과반을 훨씬 웃도는 찬성률로, 최종 투표에서 발의안이 손쉽게 통과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과거 개빈 뉴섬 주지사 리콜 투표가 62% 대 38%로 부결된 전례와 비슷한 지지율이 관측되며, 이번에도 민주당 진영의 압승이 예상된다.
발의안 50호는 텍사스 등 공화당 주도 지역에서 진행된 게리멘더링에 대응해 추진됐다.
통과될 경우, 캘리포니아 의회가 새롭게 그린 선거구 지도를 2030년까지 임시로 적용하게 되며, 민주당의 연방 하원 의석이 현재 43석에서 최대 48석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조치가 2026년 중간선거에서 연방 하원 다수당의 향방을 바꿀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지자들은 이번 조치를 “공화당의 선거 조작에 맞서는 민주주의 수호법”으로 평가하는 반면, 반대 측은 “민주당이 독립 선거구획정위원회의 권한을 무력화해 권력 장악을 시도하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찬성(Yes on 50)’ 진영은 1억3,800만 달러를 모금하며 주지사 개빈 뉴섬과 민주당 지도부의 전폭적 지원을 받고 있다.
반면 ‘반대(No on 50)’ 진영은 전 하원의장 케빈 매카시 등 공화당 주요 인사들이 참여했지만 8,000만 달러 수준의 자금력에 그쳤다. 최근 광고 지출도 급격히 줄며 모멘텀이 약화된 상태다.
여론조사와 자금력, 조직력 모두에서 민주당 진영이 우세를 점하고 있어 발의안 50호의 통과는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평가다.
이 법안이 통과될 경우 캘리포니아의 연방 하원 선거 지도가 재편되며, 향후 2026년 중간선거와 미 전국의 선거구 재조정 논쟁에도 강력한 파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김상목 기자>
관련기사 “4일 선거, 민주-공화 분열 이정표 .. 남북전쟁 이후 갈등 최고조
관련기사 발의안 50이 뭐길래 Yes냐 No냐.캘리포니아 특별선거, 오바마까지 나서
관련기사 주민발의안 50, 찬성 57% … 통과 가능성 커져 ‘청신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