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당국의 단속으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이 구금 이후 풀려났지만 항공 산업에는 여전히 영향이 남아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미국 전자여행허가(ESTA)를 받아 출장을 가거나 여행을 가려는 수요 중 상당 부분이 방문 자체를 취소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미주 노선은 특히 대형항공사(FSC) 입장에선 가장 높은 수익성을 차지하는 노선이다. 현 사태가 자칫 장기화하면 수익성 악화에 따른 실적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대형항공사(FSC)의 미국행 항공권 예약 취소가 늘고 있는 추세다. 이 취소는 출장 시 주로 예약하는 비즈니스 좌석을 중심으로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한 대형항공사 관계자는 “최근 미주 항공권 티켓을 취소하는 움직임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비자 사유인지, 미국 출장 자체 금지령 때문인지, 정확히 확인되진 않지만 비즈니스 좌석 중심으로 취소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미국행 출발·도착 여객수는 사상 최대치다. 지난 8월 말까지 379만4729명이 오갔다.
이는 팬데믹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 317만1296명 대비 19.65% 늘어난 수준이다. 지난해 대비로도 3.8% 증가했다.
미국 노선은 FSC의 주 수익원 중 하나다. 올해 2분기 계절적 비수기에도 FSC가 저비용항공사(LCC) 대비 수익이 양호했던 배경도 미국과 유럽 같은 중장거리 노선에서 수익성 방어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대표 항공사인 대한항공은 올 2분기 영업이익 3990억원을 달성하며 항공업계에서 차별화한 실적을 보였다.
이는 저비용항공사(LCC)들의 합산 영업이익이 1632억원 적자인 것을 감안하면 눈에 띄는 실적이다. 또 다른 FSC인 아시아나항공도 340억원 영업이익을 올렸다.
대한항공의 여객 매출에서 미주 노선 비중은 40%에 달한다. 아시아나항공도 미주 노선이 전체 매출의 29%(2분기 기준)로 유럽(17%), 중국(12%)보다 한결 높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대한항공 매출에서 미주 노선 비중은 여객 40%, 화물 50% 수준이다”며 “미주 노선은 수익성이 가장 좋다는 점에서 영업이익 기여도로는 60%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미국 이민 당국의 비자 강화 스탠스가 유지된다면 항공 산업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 실제 여행, 유학, 출장 등을 앞두고 “미국 당국이 ESTA를 취소했다는 메일이 왔다”며 항공권을 취소할 수 밖에 없다는 사람들이 계속 나오는 실정이다.
양지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주 노선은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자 규제 영향으로 유학생과 친지 방문 등 인바운드 수요 감소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며 “(대한항공의) 올해 3분기는 다소 부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