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하원이 성범죄자 제프리 엡스타인 수사기록을 공개하도록 하는 법안을 18일(현지 시간) 통과시켰다.
미국 하원은 이날 미 법무부가 엡스타인 관련 수사기록 등을 공개하도록 하는 법안을 찬성 427표, 반대 1표로 가결했다.
하원을 통과한 법안은 상원으로 넘어가며, 상원 역시 통과시킬 경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서명을 거쳐 효력이 발생한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법안에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고, 의회 다수당인 공화당 지도부 역시 반대해왔다.
그럼에도 공화당 일부가 이탈해 민주당과 손을 잡고 법안을 본회의에 상정하는데 성공했다. 막상 표결이 진행되자 공화당도 당론을 바꿔 대다수가 찬성표를 던졌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는 엡스타인 사건과 트럼프 대통령의 대응 방식이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연합을 어떻게 분열시켰는지를 반영했으며, 그가 당에 행사해온 철권 통치에 균열이 생겼음을 시사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평은 앞서 공화당 하원의원 3명이 자신의 뜻을 거슬러 법안 상정을 위한 청원서에 서명하자 직접 전화를 걸어 압박했고, 백악관 참모들을 통해 이번 행위가 행정부에 대한 적대적 행위로 간주될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NYT는 전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은 오히려 역효과를 불렀고, 해당 의원들은 의사를 굽히지 않았다. 세 의원 중에는 한때 트럼프 대통령의 열렬한 지지자였던 마저리 테일러 그린(공화·조지아) 하원의원도 포함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기자들의 질문에 법안이 통과되면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는데, 법안 상정이 가시화되자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우리는 엡스타인에 걸릴 게 없다”라며 “(걸릴 게 있는 건) 민주당”이라고 말했다.
엡스타인은 뉴욕의 헤지펀드 매니저 출신 억만장자로, 2000년대 초 최소 20여명의 미성년자 소녀들을 성매매하고 유명 인사들에게 성접대를 하며 인맥을 관리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다만 재판을 받던 중인 2019년 8월 맨해튼 교도소에서 사망해 사건의 실체는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특히 유력인사들에게 성매매를 알선했다는 의혹 등은 해소되지 않고 남았다.
트럼프 대통령과 지지자들은 관련 사건 기록을 모두 공개해야한다고 주장해왔으나, 정작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법무부는 관련 기록을 공개하지 않아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반발이 나왔다.
K-News LA 편집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