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온라인 사전 사이트 ‘딕셔너리닷컴’은 2025 올해의 단어로 ’67(six seven)’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딕셔너리닷컴은 매년 뉴스 제목, 소셜미디어 트렌드, 검색량 등의 데이터를 종합해 사람들의 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단어를 ‘올해의 단어’로 발표한다.
딕셔너리닷컴 측은 “우리가 지명하는 올해의 단어는 매년 언어와 문화의 중요했던 순간들을 보여준다”라며 “올해의 단어로 선정된 ’67’은 단순한 유행어를 넘어, 우리가 한 해 동안 어떻게 표현하고 변화했는지 보여주는 언어적 타임캡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67’의 정확한 의미는 여전히 모호하다.
일각에서는 이를 ‘그저 그렇다’ 또는 ‘어쩌면 이것일 수도 있고, 저것일 수도 있다’라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또 아이들 사이에서는 어른들을 놀리거나 장난칠 때 쓰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딕셔너리닷컴 측은 “비록 명확한 의미는 없지만,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고 소속감을 나타내는 상징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 단어를 말할 때는 특유의 제스처가 함께 쓰인다. 딕셔너리닷컴 측은 이를 “양손을 위로 향하게 한 채 번갈아 위아래로 움직이는 동작”이라고 설명했다.
’67’은 래퍼 스크릴라(Skrilla)의 곡 ‘Doot Doot(6,7)’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난 여름 틱톡 등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됐다. 특히 운동선수의 부진한 경기력을 조롱하는 영상에 이 단어가 자주 사용되며 유행어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골칫거리로 지목되고 있다. 미국의 한 중학교 교사는 SNS를 통해 “교실에서 ’67’이라는 숫자만 나와도 아이들이 단체로 외치며 수업을 방해한다”며 “결국 사용을 금지하기에 이르렀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