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한 남성이 ‘정자 기증’을 명목으로 아이를 원하는 여성들과 성관계를 맺고 있다고 주장해 온라인상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1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일본 오사카에 거주하는 38세 남성 하지메(가명)는 성관계 또는 인공수정을 통해 여성들의 임신을 돕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5년간 정자 기증 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현재까지 7명의 여성에게 임신을 유도했고 이 중 4명은 출산까지 마쳤다
하지메의 첫 정자 기증은 불임을 겪는 대학 동창의 요청으로 시작됐다. 그는 “친구가 정자가 부족해 아이를 가질 수 없다며 나에게 아내와 성관계를 통해 아이를 낳아달라고 부탁했다”라고 밝혔다.
처음엔 충격을 받았지만 불임 문제로 고통받는 이들이 많다는 사실을 깨달은 그는 며칠 뒤 무료 정자 기증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당시 친구 부부는 아이를 본인들 명의로 양육하기로 하지메와 확실하게 합의했고 이듬해 아이가 태어났다.
하지메는 “친구의 부모님이 손주를 간절히 원했다. 친구도 기뻐서 환하게 웃으며 나에게 정말 고마워했다”라고 말했다.
이 경험을 계기로 그는 불임 여성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는 생각에 SNS를 통해 익명으로 정자 기증 의사를 공개했으며 매달 약 11700엔(한화 11만원)의 비용을 들여 감염병 검사를 받고 결과를 투명하게 공유하고 대학 졸업장을 올려 신원도 인증하고 있다.
여행비를 제외한 금전적 대가는 받지 않으며 별도의 계약서도 작성하지 않는다. 또 태어난 아이에 대한 친권이나 재정적 책임은 일절 주장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하지메는 지금까지 20건 이상의 기증 요청을 받았고 그중 상당수는 동성 커플이나 비혼 여성이었다고 전했다.
그는 “처음엔 불임 부부의 요청이 많을 줄 알았지만 현실은 달랐다”고 말했다.
일본에서는 체외수정 등 불임 치료가 법적으로 미혼 여성과 동성 커플에게 제한돼 있어 하지메의 활동이 희망을 제공하는 대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그의 활동은 법적 규제가 명확하지 않은 회색 지대에 놓여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온라인 홍보나 개인 간 정자 기증 자체가 명백히 금지된 것은 아니지만 제도적 허점에 대한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메는 “이 일을 계속하는 이유는 금전이 아니라 누군가가 임신하고 출산하는 걸 보며 느끼는 성취감”이라며 “내가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는 느낌이 가장 큰 동기”라고 설명했다.
이와 같은 사연은 중국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뜨거운 반응을 일으켰다.
일부 네티즌은 “공식적인 기록 없이 출생이 이뤄진다면 미래에 혼인의 문제 등에서 심각한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지만 또 다른 누리꾼은 “분명한 수요가 존재하는 만큼 법과 제도도 시대에 맞게 바뀌어야 한다”고 반박했다.
K-News LA 편집부